[문재인 19대 대통령 당선] 보수정권 9년…국민들 냉정한 심판

입력 2017-05-10 00:40:42

MB 실망감 朴 국정농단에 진보·개혁 진영 똘똘 뭉쳐

정권교체와 적폐청산을 요구해 온 국민적 열망이 9일 치러진 대통령 선거를 통해 완성됐다.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는 양극화의 폐해에 대한 대수술을 시작하라는 국민적 명령이다. 대한민국 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정부가 '공정한 조정자' 역할에 나서라는 메시지이기도 하다. 일촉즉발의 위기상황이 이어지고 있는 한반도 안보문제는 남북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하라는 민심이 확인됐다. 중장년층과 어르신이 좌우해 온 정치영역에 젊은이들의 대거 참여로 향후 국정운영 과정에서 청년층이 목소리를 높일 전망이다.

5명의 대선 후보들이 각 지역에서 고른 득표를 기록함에 따라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돼 온 지역감정은 한풀 꺾이는 양상이다.

역대 선거에서 진보'개혁세력의 발목을 잡아 온 보수진영의 색깔공세 역시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는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인다.

보수정권 9년에 대한 유권자의 심판은 냉정했다.

먹고살 길을 열어 줄 것으로 기대했던 이명박정부에 대한 실망감에 박근혜정부의 국정 농단 사건이 얹어지면서 진보'개혁진영에 힘이 실렸다. 낙선 후보들이 보수 명맥 유지, 정치개혁, 보수혁신, 진보정치 육성 등의 가치를 내세웠지만, 사회 대개조를 원한 국민적 요구를 상대하기엔 역부족이었다.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는 성장, 낙수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경제구조, 사회 전 영역에서 심화하는 부익부 빈익빈 현상, 계층상승에 대한 기대가 사라진 흙수저 논란, 비정규직 확산 및 차별 심화, 노후빈곤 문제, N포 세대 양산 등 보수정권이 서민의 먹고사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대로 제시하지 못한 채 대기업 성장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인 것에 대한 반발도 이번 대선 결과로 이어졌다.

대선을 통해 나타난 또 다른 민심은 한민족 주도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하라는 요구였다.

촛불집회를 통해 정치참여 의식이 고취된 젊은 유권자들이 이번 선거에 대거 참여하면서 향후 지방선거와 총선에서도 젊은 유권자들의 표심이 대세를 가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역대 대선에서 선거판을 흔들었던 지역감정과 색깔론은 퇴조하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