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 시행 70주년을 맞아 일본 정부가 전쟁가능한 국가로의 변신을 꿈꾸며, 헌법개정을 위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헌법기념일인 3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개헌에 대한 야권과 시민단체들의 우려에도 2020년 개정 헌법을 시행하겠다며 조기개헌 추진 의욕을 드러냈다.
다만 아키에(昭惠) 스캔들이나 정부 각료 망언 등으로 아베 정권에 대한 비판 여론이 만만치 않고, 7월 도쿄(東京) 도의회 선거 상황도 녹록지 않은 등 개헌 추진에 부정적인 상황이 적지 않다.
◆계속되는 개헌 드라이브…논란 작은 것부터 '2단계 전략'
한동안 일본 내 야당과 시민단체들의 반발을 우려해 적극적인 개헌 발언을 피해온 아베 총리는 헌법 시행 70주년인 올해 틈만 나면 개헌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연초 국회 시정연설에서는 국회에 개헌 논의를 해달라고 요구했고, 지난 1일 개헌을 추진하는 초당파 의원들의 단체인 '신헌법제정의원동맹' 모임 행사에 참석해 "올해 반드시 (개헌에 대한) 역사적 한 걸음을 내디딜 것"이라고 의지를 다졌다. 3일에는 요미우리신문과의 인터뷰를 통해 "자위대 합법화가 사명"이라며 도쿄올림픽이 열리는 2020년 개헌 헌법을 시행하겠다고 구체적인 일정을 제시했다.
저항이 적은 내용으로 개헌의 문을 열고 나서 논의 과정에서 이를 뜯어고치려는 '2단계 개헌'을 하겠다는 것이다.
대학까지 '교육 무상화' 이슈로 야권을 논의에 끌어들인 뒤 차후 평화헌법 조항인 헌법 9조를 뜯어고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어 보인다.
아베 총리가 요미우리와 인터뷰에서 헌법 9조의 1항과 2항은 놔두고 자위대 관련 기술을 넣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헌법 9조는 일본이 전쟁과 무력행사를 영구히 포기하며 군대를 보유하지 않고 교전권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를 고쳐 일본을 전쟁할 수 있는 국가로 바꾸는 것이 아베 총리와 일본 우익의 숙원이라고 할 수 있다.
◆'전쟁포기' 9조가 핵심…도쿄도의회 선거 최고 변수
아베 내각의 개헌 드라이브에도 일본 국회에서 개헌 논의는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중의원과 참의원의 헌법심사회가 올해 들어 재차 가동됐지만 흐지부지한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개헌을 위해 아베 총리가 가진 가장 큰 카드는 국회 해산과 총선거 실시다.
국회를 해산시켜 개헌 논의를 정치'사회적인 이슈로 끌어올려 총선거에서 개헌세력이 개헌안 발의 요건인 전체 의석의 3분의 2 이상을 차지한 뒤 안정적으로 개헌을 추진하는 것이 아베 총리 입장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시나리오다.
아베 총리는 당초 작년 혹은 올해 초 국회 해산 방안을 고려했지만 총선거 압승을 담보할 만큼 지지율이 높지 않다고 보고 계획을 미뤘다.
여기에는 사학법인의 국유지 헐값 매각에 아베 총리와 부인 아키에 여사가 연루됐다는 의혹인 '아키에 스캔들'과 내각 고위 관료들의 설화(舌禍) 및 비위 등으로 지지율이 등락을 거듭한 상황이 자리 잡고 있다.
다소 잠잠해졌지만 아키에 스캔들 불씨가 아직 남아 있고, 언제 다시 고위 관료의 망언도 튀어나올지 모르는 상황이다.
정치 일정 중에서는 오는 7월 2일 열리는 도쿄도의회 선거가 개헌 추진 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도쿄도의회 선거는 지방의회 선거이긴 하지만 도쿄라는 상징성 때문에 전국의 정세에도 영향을 미칠 만큼의 파급력이 있다.
지난 2009년 도쿄도의회 선거에서 대패했던 자민당은 이후 중의원 선거에서도 패배하며 정권을 민주당(현 민진당)에 넘겨주기도 했었다.
아직 2개월가량 남긴 했지만 올해 도쿄도의회 선거는 고이케 유리코(小池百合子) 지사의 돌풍이 거세다.
개혁 정책으로 인기가 높은 고이케 지사는 당적이 아직도 남아 있는 자민당에서 등을 돌리고 독자세력인 '도민 퍼스트(우선)회'를 만들어 선거에 임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