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 협조공문만 두번 보내…시·도교육청 "학교 재량" 뒷짐
대구경북 수학여행단이 경주를 외면하고 있다. 시'도 교육청이 학교 재량이라는 이유로 사실상 팔짱만 끼고 있기 때문이다. 경주를 돕자는 캠페인이 무색하다는 지적이다.
경주를 찾은 관광객 수는 최근 들어 예년 수준에 근접했다. 경주시가 내놓은 방문 관광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70만 명대로 반 토막 났던 관광객 수가 올 3월 예년(50만 명 수준)의 80% 선을 넘었다. 경주시 관광컨벤션과 관계자는 "일반 관광객은 거의 회복됐지만 학생층의 방문이 여전히 저조하다"고 했다. 경주 관광업계도 "20~30년 전과는 아예 비교할 수도 없다. 최근 들어서도 수학여행단 발길이 대거 줄었다"고 입을 모은다.
경미한 여진을 빌미로 예약 취소도 잇따른다. 규모 2.0 지진이 있었던 지난달 18일 인천 한 학교는 경주로 오려던 수학여행을 취소했다. 이곳만이 아니었다. 불국사 주변 숙박업체들은 이 지진으로 7개 학교 숙박 취소라는 된서리를 맞았다. 규모 2.0은 지진이 일어났다는 느낌도 못 받을 정도다.
윤선길 불국사숙박협회장은 "지진 이전에 비해 수학여행단 규모가 10%도 안 된다. 도저히 이래서는 안 되겠다 싶어 경기도 지역 학교운영위원 35명을 초청해 팸투어까지 했다"고 밝혔다.
지난해부터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경북도교육청과 산하 교육지원청에 협조 공문을 보낸 뒤 직접 찾아가기도 했다. 고위 간부급 인사들이 "경주를 수학여행지로 적극 고려해달라"고 요청하며 큰절까지 올렸다.
그러나 경북도교육청은 경주행을 권고하는 공문만 보냈을 뿐 부차적인 노력에 적극 나서지 않았다. 도교육청이 관련 공문을 내려 보낸 것은 단 두 차례. 지난해 11월과 올 2월이었다. '경주는 안전진단 결과 이상 없다. 안심하고 가라. 안심 서비스를 하고 있다'는 내용이었다.
그 결과 대구경북 초'중'고교 중 수학여행 일정으로 경주를 하루라도 포함한 곳은 화원초'경운중 등 대구에서 17개교가 전부였고, 경북에서는 평은초'소천중 등 11개교에 그쳤다. 대구경북 전체 학교(1천392개교)의 2%다. 이 때문에 경주 지역 숙박업계에서는 "대구경북 학생들보다 대전'충청'인천'경기 지역 학생들이 오히려 더 많다. 서로 돕고 살아도 모자랄 판인데, 상황이 이렇다 보니 야속하다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경북도교육청 관계자는 "학교별 운영위원회에서 학생 의견을 반영해 수학여행지를 결정한다. 이 때문에 협조 공문을 보내더라도 수학여행지 선택에 개입할 근거가 없다"고 해명했다.
경북도 관광진흥과 관계자는 "경주를 살리려고 최근 경북관광 바겐세일을 기획하는 등 이벤트를 계속했다. 경북지역 시'군 교육지원청에 협조 공문도 보냈지만 호응도가 낮은 것으로 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