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날로 커지면서 전기차 보급사업도 급물살을 타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집계에 따르면 1~3월 전국의 전기차 보급 대수는 1천806대로 지난해 1분기 223대에 비해 8배 이상 늘었다.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관측이 우세하지만 올 들어 전기차의 민간 보급이 빠르게 늘어 이제 '전기차 시대'가 성큼 다가선 느낌이다.
전기차에 대한 높은 관심은 미세먼지 등 환경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어서다. 여기에다 정부'지방자치단체의 보조금 지급도 무시할 수 없다. 정부는 올해 2천643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보조금을 지급한다. 지난해 1천485억원보다 대폭 늘었다. 환경부가 계획한 올해 전기차 보급 규모는 모두 1만4천 대다.
올해 3월 말 기준 대구시 전기자동차 민간 보급 규모는 통틀어 1천 대 수준이다. 하지만 올해 시가 계획한 전기승용차 보급 대수는 1천500대로 이제까지 보급된 것보다 훨씬 많다. 게다가 전기화물차 500대, 전기이륜차 400대 등 총 2천400대를 보급한다. 이는 제주 5천746대, 서울 2천600대를 빼면 전국 지자체 중 가장 큰 규모다. 경북은 울릉도 200대 등 총 458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무엇보다 대구시가 전기차 보급에 적극 나서면서 올해 보조금 신청사업이 조기 마감되는 등 시민 호응 또한 높다.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100% 목표를 세운 제주만큼은 아니더라도 대구의 전기차 보급이 타 지자체와 비교해 크게 앞서 나갈 가능성은 충분하다. 하지만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과제도 적지 않다. 기술적 요소는 빼놓고라도 턱없이 부족한 충전 인프라 등은 여전히 걸림돌이다.
매년 약 180만 대의 국내 자동차 판매량에서 전기차 비중이 아직 1%를 밑돈다. 전기차 보급률 세계 1위인 노르웨이의 22%와 비교되는 우리의 현실이다. 물론 전기차 대중화가 불과 몇 년 만에 이뤄질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지금 추세대로라면 빠르게 변모할 것은 분명하다. 전기차 사업은 자율주행차와 함께 대구가 신성장동력으로 중점 육성하는 사업이다. 그런 만큼 전기차 보급에 더 속도를 내야 한다. 충전시설부터 더 촘촘히 구축하는 등 전기차가 대구의 경쟁력이 되도록 발벗고 나서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