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핵무기 개발·경제 살리기' 앞서가는 문재인에 집중포화

입력 2017-04-26 00:05:01

대선 후보 초청 JTBC 토론회

25일 오후 고양시 일산동구 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서 JTBC·중앙일보·한국정치학회 주최로 열린 2017 대통령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각 당 후보들이 발언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호순으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2017.4.25 (고양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25일 오후 고양시 일산동구 빛마루 방송지원센터에서 JTBC·중앙일보·한국정치학회 주최로 열린 2017 대통령 후보 초청 토론회에서 각 당 후보들이 발언 하고 있다. 왼쪽부터 기호순으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자유한국당 홍준표, 국민의당 안철수, 바른정당 유승민, 정의당 심상정. 2017.4.25 (고양 국회사진기자단=연합뉴스)

25일 치러진 TV 토론에서는 양강 구도가 무너진 탓인지 주요 정당 후보 4명이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에게 질문과 공격을 집중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 후보와 홍준표 자유한국당'안철수 국민의당'유승민 바른정당'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이날 오후 경기도 고양시 빛마루스튜디오에서 진행된 JTBC 주관 대통령 후보자 토론회에 참석해 2시간 50분 동안 열띤 정책 공약 대결을 벌였다. 이날 토론회는 13일 SBS'한국기자협회, 19일 KBS, 23일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1차 토론에 이어 네 번째로 주요 후보들을 검증하는 무대다.

'자유토론'(60분)과 '주도권 토론'(60분) 등의 방식으로 진행된 토론회에서 각 후보는 상대 후보의 약점을 적극 공략하는 한편 '안보논쟁'과 '경제적 양극화 해소 방안'을 두고 치열한 토론을 벌였다.

특히 양강 구도에서 선두로 치고 나온 문 후보에 대한 각 당 후보들의 견제가 더욱 심해졌고, 보수 성향 유권자의 지지를 두고 각축을 벌이고 있는 홍준표'안철수'유승민 후보 간 설전도 진행됐다.

홍'안'유 후보는 공공 분야 일자리 창출을 뼈대로 한 문 후보의 고용 정책에 대해 파상 공세를 퍼부었다. 홍 후보는 귀족 노조에 기댄 민주당의 노동 정책으로는 일자리 창출이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 후보는 문 후보가 제시한 공약의 재원 마련 방안이 구체적이지 않다며 실현 가능성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안 후보는 일자리 창출은 기업과 민간의 영역이라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민간에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보 문제를 둘러싼 공방은 더욱 치열했다.

홍'안'유 후보는 한미동맹 강화를 기반으로 한 안보가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전시작전권 조기 환수와 동북아시아에서의 외교 주도권을 주장한 문 후보와 현격한 시각 차이를 보였다. 특히 문 후보와 유 후보는 북한의 핵개발 자금 유입 배경과 사드 배치 당위성을 둘러싸고 격렬한 토론을 벌였다.

문 후보는 "북한이 핵무기를 고도화할 동안 이명박, 박근혜 정권이 전혀 한 일이 없다"며 "북한의 핵개발 재원을 참여정부가 제공했다고 전 정부 탓만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말했다.

유 후보는 문 후보의 이 같은 발언을 곧바로 반박했다.

유 후보는 "사드 배치를 통해 국민을 북한의 핵무기로부터 보호해야 한다"며 "사드 배치에 대한 문 후보의 불분명한 태도는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홍 후보는 "유럽의 예와 마찬가지로 전략 핵무기를 도입해 북과 핵 균형을 이뤄야 한다"며 압도적인 전투력을 통해 전쟁을 억제하겠다"고 말했다.

심 후보는 촛불 민심의 종착지는 정치 개혁이어야 한다며 진보 정치가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사표 방지 심리 차단에도 공을 들였다.

이날 토론회는 그동안 진행된 토론회 과정에서 불거진 후보 간 네거티브 공세를 최소화하기 위한 장치를 많이 마련해 후보 간 토론이 과열되는 상황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토론 시간 배분을 엄격하게 하면서 심도 있는 토론으로 전개되지 않은 아쉬움을 남겼다.

JTBC, 중앙일보, 한국정치학회가 공동 주최한 이날 토론회는 손석희 JTBC 사장의 사회로 후보들이 원탁에 둘러앉아 얼굴을 맞대고 이야기를 주고받는 형태로 진행됐다. 이전 토론회와 달리 방청객이 지켜보는 가운데 후보 간 토론이 진행돼 긴장감이 배가됐다. 후보들이 주고받는 주요 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증해 온라인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하는 '팩트 체크'가 가미되기도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