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2명 중 1명은 좋은 직업을 가지려고 대학 이상 학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순수하게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나 교양을 쌓기 위해 대학에 가려고 한다는 청소년은 10명 중 4명에 불과했다.
학교에서 적성·소질 계발을 할 수 있어서 만족한다는 청소년은 10명 중 4명도 채 되지 않았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17 청소년 통계'를 보면 지난해 13∼24세 청소년의 51.1%는 좋은 직업을 가지려고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고자 한다고 답했다.
이 비율은 2년 전 조사 때보다 2.5%포인트 상승했다.
능력 개발 때문에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겠다고 답한 청소년은 38.6%에 그쳤다.
더 나은 결혼,친구 관계 때문에 대학 이상 학위를 얻으려 한다는 청소년은 4.0%,주위의 기대 때문이라고 답한 청소년은 3.2%로 나타났다.
인격이나 교양을 쌓기 위해서라는 응답은 2.7%에 머물렀다.
학교생활이 적성 개발과 동떨어지다 보니 만족도도 떨어졌다.
13∼24세 중·고·대학생 중 학교생활에 만족한다는 청소년은 52.3%였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뤄지는 적성·소질 계발에 만족한다는 청소년은 37.2%에 그쳤다.
교우 관계 만족도(68.8%),교사(교수)와의 관계 만족도(53.1%)보다 크게는 30%포인트 이상 만족도가 낮은 것이다.
전반적인 학교생활 만족도는 중학생이 59.6%로 가장 높았고 고등학생 49.8%,대학생 49.4%로 점점 낮아졌다.
초·중·고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은 67.8%로 나타났다.
사교육 비율은 초등학교에선 80.0%에 달했다가 중학교(63.8%),고등학교(52.4%)로 가면서 낮아졌다.
다만 사교육 참여율은 고등학교에서 전년보다 2.3%포인트 상승했고 초등학교에선 0.8%포인트,중학교에선 5.5%포인트 각각 감소했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5만6천원으로 1.2% 증가했다.
중학교의 월평균 사교육비(27만5천원)가 가장 높았고 고등학교(26만2천원),초등학교(24만1천원) 순이었다.
초·중·고 학생의 방과후 학교 참여율은 55.8%로 1.4%포인트 감소했다.
한편 2015년 기준 상용근로자 5인 이상 규모 사업체에서 일하는 20∼24세 상용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76만3천원으로 0.9% 증가했다.
25∼29세는 1.2% 늘어난 221만8천원이었다.
중·고등학생 중 지난해 아르바이트를 해본 적 있는 청소년은 11.3%였다.
그중 3.3%가 현재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고등학생의 아르바이트 경험률은 18.1%로 중학생(3.6%)의 5배에 달했다.
아르바이트 일일 근로시간은 평균 6.7시간,시간당 금액은 6천575원이었다.
업종별로는 음식점·식당·레스토랑이 41.6%,뷔페·웨딩홀·연회장이 17.9% 등으로,서빙이나 주방 업종이 주를 이뤘다.
중학생의 경우 전단 배포 아르바이트 비중이 30.1%로 고등학생(2.9%)보다 두드러지게 높았다.
지난해 5월 기준 15∼29세 이직 경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첫 직장을 그만둔 주요 이유는 '근로여건 불만족'(48.6%)이 첫 손으로 꼽혔다.
여자의 경우 '개인·가족적 이유'로 그만둔 경우가 16.2%로 남자(10.0%)보다 높게 나타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