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영세기업 텃밭으로 변질된 구미 국가산업단지

입력 2017-04-18 00:05:05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대규모 산업 용지가 중소기업에 잇따라 분할 매각되면서 구미 경제와 경북 산업의 미래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국가산단은 우리 수출산업과 국가전략산업의 핵심 둥지라는 점에서 가속화하는 영세화는 크게 우려할 사안이다. 수만 평 규모의 공장 부지가 10분의 1 단위로 쪼개져 계속 매각된다면 앞으로 대기업과 핵심 업종의 진출이 더욱 어려워지는 등 부작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구미 국가산단 영세화의 배경은 일차적으로 삼성'LG 등 대기업의 공장 이전과 한계산업의 휴'폐업이 원인이다. 현재 전기전자'재료'섬유 등 구미와 경북도의 경제를 견인해온 대규모 공장들이 상당수 가동을 멈춘 상태다. 부지를 그냥 놀리는 것도 문제이지만 고육지책으로 수십만㎡의 용지를 나눠 매각해 국가산단 조성 취지와 성격을 훼손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향은 아니다.

구미산단의 급속한 영세화는 입주 기업의 규모에서 단적으로 드러난다. 구미 국가산단 전체 입주 기업 2천135곳 중 50인 미만 영세기업이 1천871개사로 전체의 87.6%를 차지한다. 2005년만 해도 42.5%에 불과했으나 2013년 67.2%로 치솟았고 지난해에는 무려 90%에 이를 정도로 영세 기업이 급증했다. 2011년 조성된 4산단 이후 대기업 유치는 단 한 곳도 없다. 영남의 간판 산업단지가 대기업 공동화에 이어 중소기업의 텃밭이 되고 만 것이다.

현재 분양 중인 5국가산단도 예외가 아니다. 경기 침체로 덩치가 큰 부지 분양이 어려워지자 용지 매각에 급급해 분할 매각이 빈번해지고 있다. 조성 당시 내건 대기업 유치 노력은 온데간데없고 미래 신기술산업 육성이라는 기대마저 완전히 꺾인 상태다.

국가산단 용지는 한정돼 있다. 이런 식으로 산단 영세화가 이뤄질 경우 장차 국가전략산업 기업이 들어설 자리를 잃게 된다. 이는 산단 경쟁력 약화는 물론 그 위상마저 뒤흔드는 일이다. 경북도와 구미시는 현 상황을 결코 가볍게 봐서는 안 된다. 국가산단 위상 재정립과 지역 산업 경쟁력 제고를 위해 해법을 찾아야 한다. 이대로 산단을 방치한다면 지역 경제의 미래는 갈수록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