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의 對北 군사 압박 동의한 듯…한반도 긴장 고조

입력 2017-04-11 17:22:45

중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에서 미국의 대북 군사행동 옵션에 동의했을 가능성이 점쳐지며 한반도 주변의 긴장이 한껏 고조되고 있다.

미중 정상회담 도중 미국이 시리아 공습을 단행한 데 이어 칼빈슨 항공모함 전단을 한반도로 전격 이동시키며 미국 내 북한 선제타격설까지 흘러나오는 상황에서 중국 내부의 여론도 급변하고 있다.

회담 직후 흘러나오는 중국 당국자 발언이나 관영매체 보도, 전문가 주장에서 중국 내부의 달라진 분위기가 나타난다. 중국 여론은 대체로 한반도 군사충돌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보면서 미국이나 한국보다는 북한에 대한 경고 수위를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

관영 환구시보는 앞서 사설을 통해 전면전 확대 및 대규모 살육전 우려로 인해 미국이 북한에 무력을 사용할 가능성은 작다고 보면서도 "북한이 또 핵실험을 한다면 중국과 미국이 전례없는 반응을 내놓고 심지어 '전환'의 수준에 다다를 수 있는 만큼 지금의 북한은 절대로 이성을 유지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10일 핵항모 칼빈슨호의 한반도 전개에 대해 "관련 국가들이 자제를 유지하고, 지역 내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을 해선 안 된다"고 했으나 예전 같은 긴박성이나 적극적인 반대 의사는 내비치지 않았다.

이는 미중 정상이 '마라라고 회담'에서 북핵 문제를 놓고 견해차만 확인했을 것이라는 당초 관측과 달리 북핵 문제에 대한 입장차를 상당 부분 좁혔을 것이라는 정황과 관련이 있다.

두 정상은 북한이 가까운 시일내 6차 핵실험을 감행해 미국이 고강도 대북 제재에 나서거나, 더 나아가 제한적 군사행동을 벌일 경우를 놓고 깊숙하게 협의를 벌였다는 것이다.

특히 시 주석은 미국이 대북 군사행동에 나설 경우 이를 격렬히 반대하지 않고 또다른 '항미원조'(抗美援朝'한국전쟁을 일컫는 중국 용어)에 나서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는 것이다.

시 주석이 정상회담에 팡펑후이(房峰輝)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장(합참의장)을 배석시킨 것도 대북 군사행동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양국 간 군사적 신뢰를 위해 중대 군사행동시 핫라인을 통해 상호 오판을 줄이려는 시 주석의 의중이 반영됐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