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3월 '중국발' 미세먼지, 최근 3년새 '최악'

입력 2017-04-07 13:07:39

올해 1∼3월 우리나라 상공의 미세먼지(PM2.5) 농도는 2015년이후 가장 나빴던 것으로 나타났다.

7일 환경부 대기질통합예보센터에 따르면 금년 1∼3월 미세먼지 농도는 32㎍/㎥로 2015∼2016년 같은 기간(30㎍/㎥)에 비해 2㎍/㎥ 높아졌다.

미세먼지농도 '나쁨'(81∼150㎍/㎥) 발생 일수는 8일로 2015년 동기와 같았지만 2016년(4일)보다 2배로 늘어났다.

특히 서울의 경우에는 '나쁨' 발생일이 14일로, 2015년(5일)과 2016년(2일) 대비 9∼12일이나 증가했다.

올해 1∼3월 국내 39개 권역을 합산한 미세먼지주의보 발령횟수는 86회로 2015년(55회)과 작년(48회)에 비해 31∼38회 늘어났다.

서울의 미세먼지 주의보 발효일은 3회로 2015년과 동일하고 2016년(0회)보다 3회 많아졌다.

'나쁨'일 기준으로 국내 미세먼지 발생에 미치는 국외 요인 기여율은 76.3%로 2015년(72.7%)과 2016년(55.8%)에 비해 3.6%포인트, 20.5%포인트 각각 증가했다.

미세먼지로 가득한 서울도심.[연합뉴스 자료사진]

미세먼지로 가득한 서울도심.[연합뉴스 자료사진]

금년 1월부터 3월까지 스모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중국으로부터 서풍 계열이 우리나라에 불어온 날은 75일로 2015년의 67일보다는 8일, 작년의 19일에 비해서는 56일 각각 많아졌다.

우리나라 상공에 대기정체 현상을 일으키는 2m/s 미만의 미풍 발생일도 29일로 2015년(13일)과 2016년(16일) 대비 16일, 13일 늘어났다. 강수량은 33.9㎜로 최근 3년중 가장 적었다.

중국발 미세먼지 (PG)

중국발 미세먼지 (PG)

[제작 조혜인] 일러스트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미치는 기상요인으로는 풍향과 풍속, 강수 등이다.

올해 1∼3월 중국의 미세먼지농도는 76㎍/㎥로 2015년(86㎍/㎥)보다 낮고 작년(70㎍/㎥)에 비해서는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 6월부터 추진한 미세먼지 특별대책으로 국내 사업장과 차량 등 에서 발생한 미세먼지는 올해 1∼3월 280t 삭감됐지만 우리나라에 불리한 기상여건과 국외 영향으로 미세먼지농도가 악화한 것으로 환경부는 분석했다.

4월 전국 미세먼지 고농도 발생일수는 10∼12일로 예상되면서 2015년 4월(6일)보다 많고, 작년(15일)보다는 적겠다.

5월 전국 고농도 예측일수는 9∼10일로 2015년(1일)보다 많고 2016년(9일)과 비슷하겠다.

환경부는 10월까지 연구용역을 실시한 후 올해 하반기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을 개정해 국내 미세먼지 환경기준을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 수준으로 강화할 계획이다.

미세먼지 24시간 환경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 25㎍/㎥, 일본·미국 35㎍/㎥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이보다 높은 50㎍/㎥이다.

정부는 미세먼지 특별대책에 따른 100대 세부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해 2020년까지 미세먼지 3만9천t을저감할 계획이다.

연합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