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 팔면 수수료 43% 떼는 백화점…中企중앙회, 납품업체 애로 조사

입력 2017-04-07 04:55:02

백화점 직매입 비율 2.6% 불과…의류·가전 등 판매수수료 높아

백화점은 직매입 비율이 지나치게 낮고 대형마트는 마진율이 너무 높아 납품 업체 부담이 크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5일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백화점 및 대형마트 납품 중소기업 502개사를 대상으로 애로 사항을 조사한 결과 백화점의 직매입 비율은 2.6%에 불과한 반면 '특정 매입' 및 '임대을' 방식은 87.9%에 달했다.

직매입은 유통 업체가 재고 부담을 안고 제품을 구입한 후 마진을 붙여 판매하는 방식으로 납품 업체가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할 수 있으며 재고 처리 부담이 적다. 이와 달리 특정 매입은 납품 업체의 제품을 외상 매입해 판매하고 재고를 반품하는 거래 형태이고, 임대을은 판매 금액에 따라 수수료를 부담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번 조사에서 백화점들은 특히 의류, 가전'컴퓨터 등에서 높은 판매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백화점은 의류 부문에서 최고 43.0%, 롯데백화점은 가전'컴퓨터 부문에서 최고 40.0%, 신세계백화점은 패션'잡화 부문에서 최고 38.0%의 판매 수수료를 부과했다.

백화점 입점 업체들은 이 같은 높은 판매 수수료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세일 할인율만큼 유통 업체 수수료율 할인 감면 적용(25.7%), 업종별 동일 수수료율 적용(23.4%), 입점 기업 협의회 구성'운영(21.6%)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마트의 경우 직매입 비율은 76.6%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마진율은 백화점 판매 수수료보다 훨씬 컸다. 최고 마진율 품목은 홈플러스 69.5%(식품'건강), 이마트 66.7%(생활'주방용품), 롯데마트 50.0%(패션'잡화), 하나로마트 50.0%(생활'주방용품) 등이었다.

대형마트 납품 업체들은 납품 단가 인하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적 방안으로 부당한 단가 인하 요구에 대한 제재(27.6%), 업종별 동일 마진율 적용(26.4%), 세일'할인 시 유통 업체와 납품 업체의 할인 가격 분담(23.4%) 등을 희망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