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통합론에 한국당 원외 조직위원장들 좌불안석

입력 2017-03-31 04:55:40

지역구 탈당 현역 국회의원 복귀…겨우 다진 입지 송두리째 넘겨야

자유한국당 경선 과정에서 일부 주자들이 '보수 통합' '보수 단일화'를 주장하자 원외 조직위원장들이 좌불안석이다.

특히 바른정당으로 당적을 옮긴 주요 지역구에 임명된 신임 조직위원장들의 마음고생이 심하다.

만약 한국당과 바른정당이 보수 통합을 기치로 대선 국면에서 합쳤을 때 지역구에 탈당한 현역 국회의원이 다시 복귀하는 셈이어서 자리 보존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자칫 겨우 씨를 뿌린 자신의 조직을 송두리째 넘겨줘야 할지 모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 특히 이들은 조직을 잘 정비해 이번 대선은 물론이고 내년 지방선거에서 입지를 다지고, 나아가서는 2020년 총선에서 공천을 받아 국회 입성이라는 플랜을 짜고 있지만, 이 계획이 물거품이 될 수도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그렇다고 보수 통합을 통한 '정권 재창출' 의지에 반기를 들 형편도 못돼 가슴앓이만 하고 있다.

더욱이 31일 한국당이 대선 후보를 확정하는 가운데, 유력 후보로 떠오른 홍준표 경남도지사가 경선 내내 노골적으로 연대의 필요성을 주장해 와 머리는 더 복잡하다.

홍 지사는 "바른정당과 분당하고 있을 이유가 없다"며 합당론에도 힘을 싣고 있다.

실제 신임 조직위원장들의 이 같은 우려는 지난달 경기도 양평에서 열린 원외조직위원장 워크숍에서도 제기됐다.

조직위원장 A씨는 "참석자 중에 보수당 합당으로 인해 발생할 문제 등의 질문이 있었고, 이에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합당은 없다고 했다"며 "만약 합당하면 그들에 대한 페널티(처벌)가 있을 테니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해 이는 일단락됐다"고 했다.

그는 "당에 남아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외친 이들은 당원권 정지 등의 처벌을 받았다. 그런데 당이 싫다며 탈당하고, 또 탄핵을 주도한 세력들이 대선 국면에서 보수통합론에 은근슬쩍 합당해 자신의 권력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은 있어서는 안 될 일이다"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