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가 만든 쓸쓸한 신조어]⑤나 혼자 산다 '관태기' 앓는 대한민국

입력 2017-03-30 14:28:53

관태기 / 사진출처 -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관태기 / 사진출처 -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편집자주] 신조어는 특히 사회가 불안하거나 혼란이 있을 때 많이 생긴다. '순실증', '맘고리즘', '관태기' 등 각종 신조어가 우후죽순 탄생한 2017년의 대한민국이 이를 잘 보여주고 있다. 올 1사분기 많은 관심을 모았던 신조어들을 정리해본다.

⑤관태기

"일은 괜찮은데 같이 일하는 사람이…"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어떤 일을 하는지보다 누구와 함께 일하는지가 더 중요한 경우가 있다. 바로 인간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다. 이는 비단 사회생활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학교, 동호회, 취업 스터디, 소모임… '인간관계'는 2~30대 청춘에서부터 4~50대 중장년층까지 나이에 상관없이 어려운 과제다.

'관태기' 란 관계와 권태기의 합성어로 사람과 관계 맺기에 권태를 느끼는 것을 의미한다. 작년 11월 초에 신조어로 탄생된 이후 2~30대 층에게 공감을 이끌어내며 폭발적인 관심을 받고 있다. 빅데이터 분석업체 다음소프트는 올해 들어 '관태기'가 무려 1034회 검색됐다고 발표했다. 또 '인간관계'란 단어와 함께 검색된 말로 스트레스(5만8천47회)·힘들다(4만2천632회)·어렵다(3만8천607회) 등이 압도적으로 상위에 올랐다. 그야말로 '각자도생' 의 시대인 것이다.

이와 같은 '관태기' 시대에 대해 전문가들은 "성과를 빨리 내야 하는 사회에서 혼자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을 편하게 느끼기 때문이다"고 진단했다. 또 이러한 관태기는 '자발적 아웃사이더', '나홀로족' 등으로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힘들게 인간관계를 유지하느니 차라리 혼자 있는게 낫다는 것이 그 이유다. 관태기' 의 연관 신조어로는 '혼밥(혼자 밥 먹기)', '혼술(혼자 술 먹기)', '혼놀(혼자 놀기)', '혼행(혼자 여행하기)' 등이 있다. 모두 '나 홀로' 문화가 낳은 부산물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