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보복 중단' 입 밖에도 안 꺼낸 美·中

입력 2017-03-19 19:40:29

주한미군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 이후 처음 마주한 미국과 중국의 외교 수장이 사드 보복 문제를 '뜨거운 감자'로 대했다.

한국에서 사드 보복 자제를 강조했던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18일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을 한 뒤 공개 기자회견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해법 논의에 집중했을 뿐 '사드'라는 단어 자체를 언급하지 않아 관심이 쏠렸다. 중국의 사드 보복을 중단케 할 카드로 거론됐던 세컨더리 보이콧(secondary boycott) 문제도 거론되지 않았다.

중국 당국과 민간의 사드 보복이 현실화해 그 피해가 막심한 한국으로선 다소 실망스러운 결과다.

틸러슨 장관과 왕 부장은 회담에서 사드 문제를 집중하여 논의하기는 했지만, 양국 간 이견만 부각될 바에야 공개 기자회견에서는 거론치 말자고 합의했을 가능성이 크다.

사드 논의에서 중국이 발언 주도권을 가졌다면 앞으로 미중 양국 간 사드 갈등이 쉽게 해소되지 않을뿐더러 중국의 한국에 대한 사드 보복이 장기화될 가능성도 그만큼 커진 것으로 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나아가 양측이 사드 문제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것은 북핵 문제와 관련한 시각과 해법에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한 것과 맥이 닿는다.

북한의 도발'위협에 대해 군사적 해결 방안을 포함한 모든 선택지를 검토 중인 미국과, 6자회담 재개 등 대화를 강조하는 중국의 입장 차이는 선명했다.

틸러슨 장관이 "북한에 영향력 있는 중국과 협력하겠다"며 중국의 역할을 강조하자 왕 부장은 "한반도 문제의 본질은 북한과 미국 간 문제"라며 미국에 책임을 떠넘겼다. 미국은 '중국 역할론'을 부각한 데 비해 중국은 '공동책임론'을 내세워 6자회담을 열자고 맞섰을 것이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향후 사드 갈등의 추이는 여러 가지 굵직한 국제 정치'외교 사안과 맞물려갈 공산이 커졌다.

주요 변수는 내달 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정상회담, 그리고 5월 9일 한국의 대통령 선거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