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나쁜 일자리 공식은 편견"…인턴사원제로 취업해 보니

입력 2017-03-15 04:55:01

직원 대우·복지 상당히 만족할 수준…경력 형성에도 좋은 기회

(주)케이알티(KRT) 전경. 경북도 제공
(주)케이알티(KRT) 전경. 경북도 제공

경상북도가 200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중소기업 인턴사원제'를 통해 지역 우수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은 이 사업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까?

㈜케이알티(KRT) 근로자 이기복(28) 씨를 통해 들어봤다. 이 씨는 경북도 중소기업 인턴사원제를 통해 지난해 4월 19일 케이알티에서 인턴으로 근무를 시작, 그해 7월 17일 정규직으로 전환됐다.

이 씨가 근무 중인 케이알티는 제철부산물을 고부가가치 자원으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가진 포항 기업이다. 1996년 포스코 외주 협력사로 시작해 2002년 유망중소기업 선정, 2006년 ISO 9001 인증 획득, 2007년 기술혁신형 중소기업(INNO-BIZ) 인증을 받은 대표적 지역 우수 중소기업이다.

-중소기업에 근무하면서 느끼는 애로사항은 어떤 점인가?

▶안 좋은 일자리의 요건을 종합하면 결국 중소기업으로 귀결된다. 그래서 '중소기업=나쁜 일자리'라는 공식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중소기업 중에도 임금과 복지혜택이 좋은 강소기업, 청년친화기업이 많다. 중소기업은 안 좋은 일자리니까 청년들에게 중소기업 취업을 강요해선 안 된다는 생각은 편견일 수 있다.

케이알티는 중소기업이지만 직원 대우와 복지가 상당히 만족할 만한 수준이다. 복지제도는 근로자 본인에게 한정하지 않고 배우자나 가족도 혜택을 받을 수 있게 꾸려졌다. 현재 근무하면서 특별한 애로사항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

다만, 금융권에서 개인 신용대출 시 제약이 있는 점은 아쉽다.

-이 사업이 취업과 경력 형성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

▶아무리 높은 임금, 좋은 복지제도가 갖춰진 회사라도 취업하지 못하면 내 것이 아니다. 취업하더라도 적응하지 못해 이내 그만둔다면 그저 몇 달 아르바이트한 것밖에 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경북도와 포항시 인턴제도에 고마움을 느낀다. 앞서 말했듯 우리 회사는 근로조건, 고용안정성, 근무환경 위해요소 등 다방면에서 고루 만족도가 높다. 게다가 '일대일 멘토-멘티' 제도를 이용해 신입사원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인턴을 하며 좋은 곳을 알게 됐고, 그 좋은 곳에 취직할 수 있어 감사하게 생각한다. 경력 형성에도 좋은 기회가 된 것 같다.

-회사나 경북도, 포항시에 바라는 점은?

▶올해부터 제도가 수정됐다고 하니 지난해 기준으로 답한다.

정부에서 실시하는 청년인턴은 인턴 대상자에게도 정규직으로 전환되면 지원금이 나가는 것으로 알고 있다. 지난해까지 경북도와 포항시 인턴은 인턴 대상자에게 지원금이 지급되지 않았던 점이 안타까웠다. 이 때문에 정부와 지자체 인턴지원 제도 중 어느 것을 선택할지 고민할 수밖에 없었다. 다행히 이 점이 개선되었다고 하니 앞으로 더 많은 청년이 지자체 사업에 지원해 취업난 해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