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경북의 밝은 미래 기반 착실히 다진 신도청 이전 1년

입력 2017-03-10 04:55:02

10일로 경상북도 신청사 개청식을 가진 지 꼭 1년을 맞았다. 280만 도민의 숙원이었던 신도시 조성과 청사 이전은 지역균형발전의 새로운 토대라는 의미와 함께 경상북도의 정체성 확립 차원에서 현재까지는 성공적인 사업이다. 게다가 도청이 옮겨오면서 경북을 축으로 한 허리 경제권이 윤곽을 드러내고 교통'문화'행정의 중심지로 발전할 가능성이 크게 높아졌다. 신도시의 역할과 발전에 기대가 모아지는 이유다.

돌이켜보면 지난해 청사 이전 직후 신도시와 주변 지역에서 갖가지 민원과 불편 사항이 불거지는 등 논란이 없지 않았다. 이는 아직 채 완비하지 못한 생활기반시설, 낮은 접근성과 정주성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이는 어떤 신도시든 낯선 환경에서 예외 없이 겪는 성장통이라고 봐야 한다. 다행히 시간이 경과하면서 문제점들이 조금씩 해소돼 불만의 목소리가 잦아든 것은 새 터전에서의 생활에 빠르게 적응해나간 결과라 할 수 있다.

표면적인 수치이기는 하나 신도시 지역을 포함해 이웃한 안동'예천'문경'상주 등지로 이사한 도청 공무원 수가 어느 정도인지 따져보면 신도시의 정착 단계를 알 수 있다. 2월 현재 전체 91%의 직원이 신도시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신도시 인구가 4.3배 늘었다. 특히 타 시도 전입자가 40%에 이르고 유입 인구의 73%가 젊은 층이라는 점에서 매우 고무적이다.

다만 아직까지 단독 이주가 전체의 절반이 넘는다는 점에서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았다. 불과 1년 만에 모든 공무원 가족이 신도시로 터전을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문제다. 도시기반시설 확충과 교육, 의료, 문화, 환경 등 정주 여건이 완벽하게 갖춰지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인내심을 갖고 빠른 시일 내 신도시가 인구 10만의 자족도시로 성장하는 데 힘을 모은다면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도시를 포함해 북부권 중심도시들이 긴밀히 연계하고 도시 특성과 자립 기반 등 경쟁력을 착실히 다져나가야 한다. 신도시 지역이 경북의 중심이자 허리 경제권의 핵심으로 성장하고 제 면모를 확실히 드러내는 것은 신도시 지역 주민뿐 아니라 전체 도민에게 주어진 과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