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소, 전기로용 노벽보수기 개발

입력 2017-03-08 04:55:02

원격조정·360도 회전 작업…안전성과 생산 효율성 확보

사람이 직접 하던 전기로 노벽보수작업을, 최근 포항제철소가 자체 개발한 보수기가 대신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사람이 직접 하던 전기로 노벽보수작업을, 최근 포항제철소가 자체 개발한 보수기가 대신하고 있다. 포스코 제공

포항제철소(소장 안동일)가 전기로 노벽보수기 개발에 성공했다. 이 기술은 스테인리스 3제강공장 95t 전기로에 적용돼 쇳물이 들고나는 횟수 1천31회를 기록, 조업신기록을 달성했다. 전기로 벽체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이를 제때 보수하지 못하면 노체 손상이 급격히 진행돼 전기로 수명단축이 올 수 있다. 이 때문에 전기로 노체보수는 상당히 중요한 조업과정 가운데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전기로 노체보수는 출탕(쇳물을 뺀 상태) 후 조업을 잠시 중단한 뒤 열간상태에서 작업자가 고열'고온의 전기로에 접근해 직접 스프레이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친다. 내화물 보수작업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수 내화물의 부착 효과 및 작업 중단에 따른 생산성 저하, 안전상 위험요소 산재 등의 문제점이 많아 개선이 시급한 프로세스로 인식돼 왔다.

포스코는 2010년 관련 기술 개발에 투자를 검토했으나 기존 설비의 적용환경이 좋지 않은 데다 투자비가 많이 들 것으로 예상돼 진행이 더뎠다. 하지만 2014년 원가절감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포항제철소 선강설비그룹과 정비부서가 협업해 원격운전이 가능한 노벽보수기를 설계, 2015년 스테인리스 2제강 전기로 열간노벽 보수 작업에 최초로 적용했다. 최근 3제강공장 전기로에서도 성공적인 안착을 보인 이 기술은 원격조정뿐만 아니라 360도 회전을 통한 스프레이 작업도 가능해 경제성과 효율성'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포항제철소 관계자는 "앞으로도 작업자의 안전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설비개선을 꾸준히 추진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제철소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