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업주·종사자 300여명 집회…일각 "부동산 개발 심리 더 커"
오는 9일 대구 중구 도원동 성매매 집결지역(일명 자갈마당) 내 성매매 피해 여성과 업소 운영자들이 거리로 나선다. 2004년 성매매특별법 반대 집회 이후 처음이다.
경찰에 따르면 자갈마당 업주, 종사자 300여 명은 이날 오후 1시 대구시청 앞에서 생존권 보장을 위한 집회를 열 계획이다. 이들은 인근 중구청 앞에서 2차 규탄 대회를 갖고 동성로 한일CGV 앞까지 행진한 뒤 해산할 예정이다.
13년 만에 자갈마당 업주와 종사자들이 거리로 나서자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집회 당사자들은 대구시가 예고한 '고사 작전'(본지 1월 9일 자 6면 보도)에 맞선 '생존권 투쟁'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성매매 업소 유지'(생존권 보장)보다는 '부동산 개발 기대 심리'가 더 크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자갈마당 내 업소와 종사자들은 2004년 62개'350명에서, 2005년 44개'129명으로 대폭 준 뒤, 35~40개' 100여 명 수준을 겨우 유지하는 실정이다. 반면 도원동 일대는 도시철도 3호선 역세권인 데다 중심상업지구로 설정돼 있어 도심 요지로 꼽힌다. 지금이라도 보상액만 충분히 준다면 떠나겠다는 지주들이 많지만 공시지가와 매매가 간 격차가 워낙 크고, 매매도 거의 이뤄지지 않아 개발 움직임은 미미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구시가 고사 작전을 펼친다면 지가 하락이 불 보듯 뻔하기 때문에 지주들을 중심으로 크게 반발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결국 자갈마당이 사라지려면 그 자리에 다른 무언가가 들어와야 하는데 공영개발 안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영업을 못 하게 되면 자연스레 적절한 시장가격이 형성되고, 민간개발도 촉진될 것"이라고 말했다. 10여 년간 성매매 피해여성 상담을 맡아온 한 여성단체 관계자는 "지주와 업주들은 성매매로 버는 돈보다 부동산 개발로 인한 이익이 더 크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며 "성매매는 보상액을 높이기 위한 수단일 뿐이기 때문에 2004년과는 전혀 상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