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류 13% 상승…농산물 꺾여
유가 상승 영향으로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2% 가깝게 올랐다.
두 자릿수 상승률을 이어가던 신선식품 물가는 계란값 상승 폭 둔화 등으로 한 자릿수로 꺾였지만, 석유류'교통 등은 5년여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작년 같은 달보다 1.9% 상승했다. 지난해 8월만 해도 0.5%에 그쳤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꾸준히 상승해 올 1월에는 2.0%로 4년 3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었다.
그간 물가 상승을 이끌어온 농산물 가격 상승세는 한풀 꺾인 대신 유가가 반등하며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석유류는 13.3% 뛰어 전체 물가를 0.54%포인트 끌어올렸다. 석유류 물가는 2011년 11월(16.0%)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었다. 유가 상승 여파로 휘발유(12.4%), 경유(18.5%), 등유(12.3%) 등 석유류 가격도 뛰었다.
연료'열차'시내버스 요금을 아우르는 교통(6.0%) 물가도 2011년 12월(6.3%)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뛰어오르며 전체 물가를 0.64%포인트나 끌어올렸다.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4.3% 상승했지만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가격이 크게 올랐던 계란값이 안정세를 찾으면서 전달(8.5%)보다 상승 폭이 크게 둔화했다.
구제역 발생에 따른 큰 영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소고기 가격은 국내 사육 두수 감소 등 영향으로 1.1%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닭고기 가격은 AI 사태 안정으로 수요가 회복되면서 5.6% 반등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에선 당근이 1년 전의 두 배가 넘는 수준인 103.8% 뛰었고 귤도 63.3% 올랐다. 달걀(50.6%), 양배추(87.1%), 오징어(41.3%), 배추(29.6%) 등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정부는 국제 유가 영향으로 당분간 소비자물가가 2% 내외 상승세를 지속할 것으로 내다봤다.
정부 관계자는 "국제유가 변동, 구제역 안정 여부 등에 따른 상'하방 변동 요인이 상존하고 있다"며 "주요 품목의 가격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수급'가격 안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