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가 묘지 왜 지방 차별하나

입력 2017-03-01 04:55:02

신암선열공원 정부 외면 속 국립묘지 미지정…열악한 재정 때문에 관리 한계

전국에서 가장 많은 독립운동가의 봉분이 모셔져 있는 대구 신암선열공원이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철저하게 외면받고 있다. 중앙정부의 무관심 속에 제대로 된 지원이 없는 것이다.

재정이 열악한 대구시 관리 현충시설에 머물러 있다 보니 전국 최대 규모의 독립유공자 묘지인데도 시설 개선 등에 투입되는 연간 운영비가 고작 2천여만원뿐이다.

1987년 대구경북에 흩어져 있던 선열 묘지를 이장해 만들어진 신암선열공원은 현재 독립운동가 52기의 봉분이 모셔져 있다. 하지만, 국립묘지로 지정되지 않아 관리 등에 있어 국비 지원을 전혀 받지 못한다.

현행 국립묘지법에 따르면 국립묘지는 서울과 대전의 현충원, 4'19민주묘지, 3'15민주묘지, 5'18민주묘지, 국립호국원뿐이다.

봉분이 1, 2기뿐이거나 합동묘역 형태인 다른 지역 순국선열 집단묘지와 달리 신암선열공원은 대구시와 경상북도의 노력으로 대구경북에 흩어진 선열 묘지를 한 곳으로 모은 곳. 단일 시설 내에 전국에서는 가장 많은 선열 봉분이 자리해 역사적인 의미가 남다른 현장이다.

그러나 관리 책임이 중앙정부보다 재정 여건이 크게 떨어지는 대구시에 있다 보니, 체계적인 관리'운영은 물론 후손들에게 순국선열의 나라사랑 정신을 알리는 데도 한계가 있다. 봉분 등이 훼손돼 방치되는 등의 문제가 일어나고 있지만, 시 재정으로는 관리 소홀 논란에서 벗어나기가 힘든 실정이다.

신암선열공원에 책정된 올해 대구시 재정은 1억1천700여만원으로, 공원 관리 직원의 임금을 빼면 시설 및 일반 운영비는 2천500만원이다. 3만6천800㎡에 이르는 드넓은 호국시설인데도 100㎡당 관리 예산이 고작 6만8천원에 불과한 것이다.

실제 매일신문은 2015년 4월 신암선열공원의 봉분 훼손 실태를 고발하는 등 끊임없이 문제를 제기해 대구시로부터 지난해 5월 공원 전체 개보수 결정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시는 그해 9월 특별교부세 15억원을 배정받았고, 내달 실시설계를 마무리해 본격적인 개'보수공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하지만, 지속적인 관리 등을 위해선 국비 지원 등 국가적 관심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이 같은 실태를 파악한 정태옥(대구 북갑)'정종섭(대구 동갑) 자유한국당 국회의원이 신암선열공원의 국립묘지 승격을 위한 법안 마련을 위해 소매를 걷고 나섰다.

두 국회의원은 28일 "신암선열공원의 국립묘지 승격 조항을 명시한 국립묘지법 개정을 공동으로 준비하고 있으며, 개정안은 이르면 3월 내로 발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두 의원은 일단 법 개정을 서두르면서 장기적으로는 애국'호국정신을 후세에 계승하기 위한 기념관 건립 등 교육학습장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대구시민 의견 수렴을 진행할 계획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