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매각 돌입
한국 원양해운업의 시초인 한진해운이 17일 결국 '사망 선고'를 받았다. 서울중앙지방법원 제6파산부는 이날 한진해운에 대해 파산을 최종 선고했다.
한진해운은 창립 40년 만에 회사 간판을 내렸고, '수송보국'(輸送報國)을 이루겠다던 고(故) 조중훈 한진그룹 창업주의 꿈도 꺾였다. 법원의 파산 선고에 따라 한진해운은 앞으로 자산매각 및 채권자 배분 순으로 파산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한진해운은 1977년 조중훈 창업주가 국내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선사로 설립했다.
출범 이듬해인 1978년 중동항로를 개척한 데 이어 1979년 북미서안항로, 1983년 북미동안항로 등을 연달아 개설하는 등 한국 컨테이너 해운업계의 새로운 역사를 써내려갔다.
1988년 대한상선(대한선주)을 합병해 국내 '1호 선사'가 된 한진해운은 1992년 국내 최초로 4천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급 컨테이너선인 '한진오사카호'를 띄웠다.
이후 미국 시애틀 등 주요 항만에 전용 터미널을 세워 사세를 키우고, 인수합병을 통해 몸집을 불렸다.
조중훈 회장이 2002년 11월 타계하자 셋째 아들인 조수호 회장이 경영 전면에 나서며 2000년대 중반까지 순항했다. 그러나 조수호 회장이 2006년 지병으로 별세하고 이듬해 부인 최은영 전 회장이 경영 일선에 나선 뒤로 위기가 찾아왔다.
2008년 리먼사태 이후 지속한 글로벌 해운업 불황 속에 운임이 호황기의 절반 이하로 떨어졌고, 호황기 때 비싸게 장기 계약한 용선료로 인한 누적 손실 때문에 회사 경영 상태는 계속 악화했다.
결국 한진해운은 뾰족한 경영타개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지난해 9월 법정관리에 들어갔다.
한편 정부는 한진해운 파산 선고에 따른 후유증을 최소화하고, 해운산업의 지속적인 성장 발판을 마련하고자 항만 경쟁력 제고를 지속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한국선박해양 설립(1조), 글로벌 해양펀드 개편(1조), 선박 신조 프로그램(2.6조) 운영 본격화 및 캠코 선박펀드 확대(1.9조) 등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차질없이 추진 중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