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남 시신 '부관참시' 가능성 제기… 대규모 숙청작업 '심화조 사건' 재조명

입력 2017-02-16 17:04:21

김정남 / 사진출처 - 연합뉴스 제공
김정남 / 사진출처 - 연합뉴스 제공

부관참시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김정남 피살 사건'과 관련, 15일 바른정당 하태경 의원은 "김정남 사망 직후 북한 말레이시아 대사관이 (말레이시아 정부에) 바로 시신을 인도해달라고 했다더라"며 "이는 '부관참시'를 위한 것이다" 고 주장했다.

이어 그는 "북한은 엄청난 반역자의 시신을 불에 태우거나 갈가리 찢어버린다"며 "장성택의 경우도 불에 태워 훼손한다든지 했는데, 시신 인도는 극악 반역자에 대한 부관참시 같은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같은 하 의원의 주장에 '부관참시' 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특히 대규모 '부관참시'가 행해졌던 과거 '용성사건' 이른바 심화조 사건이 새삼 재조명되고 있다.

'용성사건'은 1990년대 후반, 김정일의 권력 공고화 과정에서 빚어진 대규모 숙청작업이다.

당시 숙청 작업은 무자비한 고문과 심문을 이용한 조사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1997년 말부터 2000년 말까지 숙청한 인사와 가족이 모두 2만5,000여 명에 달한다고 전해진다.

이 사건의 여파로 체포된 사람들은 고용간첩, 반당, 반혁명분자로 매도됐다. 특히 전 농업위원회 위원장이었던 김만금은 관속에서 시체를 꺼내 부관참시를 당했다.

한편 부관참시란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에게 내려진 극형으로, 무덤을 파헤쳐 관을 가르고 시체의 목을 베 거리에 내거는 형벌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