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 참사 부상자, 끝나지 않은 고통

입력 2017-02-14 04:55:05

18일 14주년, 만성후유증 시달려…4명 '암'으로 이미 숨거둬, 6명은 각종 암으로 투병 중

2
2'18 대구지하철 참사 14주기 추모 주간을 맞은 13일 오후 대구도시철도 1호선 중앙로역사에 마련된 기억의 공간에 '시민 추모의 벽'이 설치됐다. 한 유족이 희생자들의 이름을 보며 눈물을 흘리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msnet.co.kr

2003년 2월 18일 일어난 대구 지하철 참사의 부상자 가운데 암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매일신문 취재 결과 확인됐다. 특히 부상자 상당수가 14년이 지나도록 여러 후유증을 겪고 있어 앞으로 암 환자가 더 늘어날 우려도 있다. 이에 따라 참사 14주년을 맞은 시점에서 부상자 전원에 대한 실태 조사 및 정기 건강검진 등 만성 후유증 관리 필요성이 제기된다.

대구지하철참사부상자대책위원회에 따르면 이미 사망한 부상자 6명 중 4명이 암으로 숨을 거뒀다. 또 생존자 가운데 6명이 위암, 췌장암(2명), 후두암, 자궁경부암, 혈액종양 등 각종 암으로 투병 중이다. 이동우 위원장은 "참사 초기에는 유독가스가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작다는 의견이 많았지만 10여 년이 흐른 지금 암 환자가 10명이나 발견됐고 미처 파악하지 못한 사례도 있을 것"이라며 "암 발병이 사고 후유증인지 걱정되지만, 부상자 전원에 대한 실태조사가 없어 불안 속에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부상자는 총 151명이었다. 이들 상당수는 유독가스 흡입으로 폐와 기관지, 후두(喉頭) 손상 등 피해를 당했고, 사고 기억 탓에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불안 장애 등에 시달렸다. 부상자 70여 명은 호흡기 후두협착 장애 판정을 받아 6개월에 한 번씩 정기 검진을 받아야 하는 처지다.

하지만 부상자들의 만성 후유증 관리를 위한 대구시 차원의 조직적 지원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시는 부상자들에 대한 보상 문제가 이미 완료된 탓에 추가적 지원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2013년 사고 10주년을 맞아 부상자단체의 요구로 100여 명에 대한 기초 건강검진을 진행했지만, 정밀검사를 위한 추가 건강검진은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무산됐다.

이 때문에 향후 부상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실태 조사를 하고, 이들의 생애를 추적'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10년 '부상자 백서' 발간을 주도했던 이성환 계명대 교수는 "사고 당시 마신 유독가스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무도 확신할 수 없다"며 "특히 암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와 관련해 대구시가 철저한 사후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대구시 관계자는 "부상자들의 건강검진 요구로 올해 예산 6천만원을 확보해 2'18안전문화재단에 넘겨준 상태"라며 "부상자 후유증 관련 실태조사나 생애 추적 조사 등도 재단과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