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은행 5개월째 금리 상승, 주택담보대출자 불안 커져…장기대출, 고정금리가 유리
지난해 10월 은행에서 1억원의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받은 이모(44) 씨는 올 들어 며칠째 밤잠을 설치고 있다. 최근 금리가 오르면서 이 씨의 대출 이자 부담도 월 6만원 이상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는 "당장 큰 부담이 되고 있다. 앞으로 금리가 더 오를 수 있다는 소식에 고정금리 대출 등으로 갈아타기를 고심 중이다"고 했다. '금리 공포'가 확산하면서 내 집을 마련하려는 주담대 실수요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최근 주담대 금리가 큰 폭 상승하고 있어서다. 특히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이들은 이자 부담에 밤잠을 설치고 있다. 은행들의 고정금리와 변동금리 모두 상승세로, 변동금리의 경우 4%대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DGB대구은행을 비롯해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NH농협'IBK기업 등 7개 주요 은행의 주담대 평균금리가 5개월 연속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7일 은행권에 따르면 대구은행을 비롯해 주요 은행들이 지난해 12월 취급한 분할상환식 주담대(만기 10년 이상)의 평균금리는 3.45%다. 농협은행과 신한은행의 평균금리가 3.58%로 가장 높고 기업은행(3.47%), 우리은행(3.41%), KEB하나은행(3.38%), 국민은행(3.30%), 대구은행(3.08) 순이었다.
이들 은행 주담대 평균금리는 지난해 8월 상승세로 전환한 뒤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7월 2.69%였던 평균금리는 8월에 2.74%로 반등했고 11월에 3.27%를 기록한 뒤 12월에 3%대 중반까지 뛰어올랐다.
최근의 흐름은 평균금리 산정 기준인 기준금리와 가산금리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지난 7월 1.44%였던 은행의 평균 기준금리는 12월 1.90%로 불과 5개월 새 0.46%포인트나 상승했다.
대출금리 산정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는 지난해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고 같은 해 7월 1일 1.44%였던 금융채 5년물 금리는 12월 30일 2.03%로 0.59%포인트나 급등했다. 각 은행이 목표이익률, 업무원가, 위험 프리미엄 등을 반영해 정하는 가산금리도 지난해 7월 1.25%에서 12월 1.55%로 올랐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올해부터 잔금대출까지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확대 적용되는 등 대출받기가 더 까다로워졌다. 단기 대출은 변동금리 상품이 낫고 3년 이상 장기 대출은 고정금리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