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만 시도민 염원 담은 통합 공항, 대선 공약으로 못 박아야"

입력 2017-02-03 04:55:02

[대구경북 100년 대계 통합 공항 이전] 목소리 높이는 지역 정치권

이전이 추진되고 있는 K2'대구공항(통합 대구공항)을 대구경북의 신성장동력으로 삼으려면 여야 대권주자들로 하여금 대선 공약으로 반드시 약속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 정치권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영남권 신공항이 김해공항 확장으로 결정, 사실상 무산되자 박근혜 대통령이 대구공항과 K2의 통합이전을 발표하면서 통합 대구공항 건설이 탄력을 받았으나, 이후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와 이로 인한 박 대통령에 대한 국회 탄핵안이 가결되면서 이전 사업추진에 대한 걱정을 낳고 있다.

더욱이 이전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대구에서 분리 이전 주장이 나오는 등 여론이 분산되면서 통합 대구공항 건설은 지역 내에서도 합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지난달 "통합 대구공항은 대구경북의 미래"라며 공조를 돈독히 했지만 통합 대구공항이 관문공항으로서의 기능과 배후지 개발, 연결 도로망 구축 등을 위해서는 예산 등 국가 차원의 지원이 뒤따라야 하는 만큼 이를 대선공약화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놨다.

대구 행정부시장 재직 당시 신공항공동추진단장을 맡았던 정태옥 새누리당 원내부대표(북갑)는 "이전을 위한 부지 마련에 대략 7조2천억원이 든다. 이는 선투자에 드는 비용이고 추후 개발에 또다시 엄청난 돈이 투입돼야 하는데 국가 보증 없이는 사실상 사업이 이뤄질 수 없다"면서 "통합 대구공항의 안정적인 재정이 뒷받침되려면 차기 대통령이 강력한 의지를 가져야 한다"고 했다.

후보지가 선정되더라도 관문공항으로서의 위계 설정, 사업자 선정 등 통합 신공항이 대구경북의 성장동력이 되기 위해서는 풀어야 할 숙제가 산더미다.

이를 위해서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체계적인 계획 수립, 시'도민의 합의와 염원, 정치권의 뒷받침 등 백년대계 설계작업이 절실하다는 것이 지역 정치권의 진단이다.

정 의원은 "공군'민간공항 분리 이전 주장 등 여론 분열은 수도권 정치권과 정부로부터 통합 대구공항 추진의 명분을 의심케 하고 사업 지연 등의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며 "소모적 논쟁을 그만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상훈 새누리당 국회의원(서구)은 "지금 지역은 너무 긍정론에 빠져 있다"면서 "지역 여론 분산이 계속되고, 차기 정부마저 의지를 보이지 않을 땐 통합 신공항 건설 사업이 진행되더라도 김해공항의 보조공항 또는 국내선 전용 지방공항 수준에 머무를 수 있다"고 우려를 제기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통합 대구공항 건설과 연결교통망 구축은 대선공약 1순위다. 통합이전은 물론 고속도로, 공항철도 구축을 제일 중요한 공약으로 여야 대선후보들에게 요구할 예정이다. 대구경북이 힘을 모아 제대로 된 공항을 만들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