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고건 전철 피하려했으나 결국 답습

입력 2017-02-02 04:55:01

관료 출신 대권 주자들의 한계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이 같은 관료 출신으로 대선주자였다가 불출마를 선언한 고건 전 국무총리의 전철을 밟지 않으려 노력했으나 결과는 같았다.

고 전 총리는 노무현 대통령 시절이던 2007년 대선을 앞두고 갑자기 지지율 30%대를 기록하며 여권의 신데렐라로 급부상했다.

당시 열린우리당은 여당이었지만 지금의 새누리당과 다름없이 지지율이 바닥을 치고 노 전 대통령의 탄핵 사태까지 덮쳤다.

큰 뜻을 품은 고 전 총리는 여권과 선을 긋기 위해 열린우리당을 해산하고 자신이 만드는 당에 열린우리당 의원들을 개별적으로 합류시키려 했다. 보수 정당에 입당하지 않은 반 전 총장과 오버랩되는 부분이다.

반 전 총장은 고건 효과를 답습하지 않기 위해 '3불(不) 정책'을 쓰면서까지 극도로 경계했다. 3불이란 ▷친박계와 거리 두기 ▷문고리 인사 근절 ▷충청 이미지 탈색 등이다. 철저히 전국구 인물로 부상할 계획이었던 셈이다.

하지만 결국 반 전 총장의 이날 전격 사퇴로 그는 같은 관료 출신인 고 전 총리와 같은 길을 걷게 됐다.

관료 출신 대권주자의 한계로 과도한 의전을 꼽는 이들이 적지 않다. 관료들은 직급이 올라가면서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을 만큼 아랫사람들의 '떠받들기'가 심해지고 이런 세월을 오래 겪으면 스스로 돌파해 나가는 힘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것이다.

여러 곳의 대선 캠프를 경험해본 지역의 한 은퇴 정치인은 "관료 출신들은 남이 해줘야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 수십 년 공직에 있으면서 자연스레 몸에 밴다. 스스로의 돌파력 부족이 생길 수밖에 없고 난제를 만났을 때 회피하려는 모습이 나온다. 대통령 선거가 관료들의 무덤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라고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