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은지 넣고 푹 끓여…추울수록 시원한 맛이 더
찬바람이 불면 울진에는 물곰탕 바람이 분다. 1년 내내 맛볼 수 있지만 찬바람이 부는 지금 제맛이 나기 때문이다.
물곰의 표준어는 꼼치다. 지역마다 이름도 달라 미거지, 물미거지, 잠뱅이, 물잠뱅이 등으로 불린다. 퉁퉁한 모습이 마치 곰처럼 생겼다고 하여 '곰치' 또는 '물곰'이라고도 한다. 그 모습이 징그러워 20년 전만 해도 그물에 걸리면 다시 바다에 놓아줬다고 한다. 물속에 빠뜨릴 때 '텀벙텀벙' 소리가 난다고 해서 '물텀벙'이라는 별명까지 붙었을 정도다.
물곰은 뭉툭한 큰 입에 머리와 같은 크기로 길게 뻗은 몸통, 미끄덩거리는 껍질, 흐물흐물한 살결을 보면 도무지 음식으로 먹을 수 없을 것 같지만 꽤 오래전부터 음식으로 즐겼다. 어부들이 추운 겨울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들어오거나 포구에서 그물 말리는 일을 할 때 언 몸을 녹이려고 국으로 만들어 먹었던 것이 물곰탕의 기원이다. 물곰은 비린 맛이 없고 담백하다. 살이 연해 숟가락으로 떠서 먹는 유일한 생선이다.
보통의 생선은 수놈보다 암놈이 맛이 더 좋지만 물곰은 예외다. 검은 물곰(흑곰)은 수놈으로 암놈인 붉은 물곰보다 살이 단단하고 껍질이 거친데다 암놈과 달리 알주머니가 없어 맛이 더 좋다. 같은 크기라도 흑곰이 1.5~2배 정도 비싸다. 잡히는 양에 따라 가격도 천차만별이다. 물곰은 전문적으로 조업하는 어선이 없다. 요즘은 대게철이라 물곰을 잡는 사람이 없어 귀해졌다.
물곰은 동해안에서 고루 잡히지만 울진 근해에서 잡히는 놈이 크고 맛도 있어 몸값도 비싸다. 버릴 것도 없다. 머리와 껍질, 내장, 등뼈, 알 등이 탕 재료에 들어간다. 회로 먹어도 입 안에서 살살 녹는다. 물곰은 흐물흐물 생김새는 못났어도 부드러운 육질과 시원한 국물 맛이 일품이다. 이 때문에 신김치를 넣고 끓여낸 곰치국은 속풀이로 최고다. 남해와 서해에서는 무와 대파, 그리고 마늘만 들어간 맑은탕으로 먹지만 울진에서는 특이하게 물곰을 신김치와 함께 넣고 끓인다. 묵은 김치를 숭숭 썰어 넣고 푹 끓여낸 시원한 맛은 누가 먹어도 반할 만한 별미다. 소문이 퍼져 물곰탕을 먹으러 일부러 울진을 찾는 사람들까지 생겨났다.
울진 죽변항에서 장모에 이어 물곰탕집 우성식당(054-783-8849)을 40년째 하고 있는 김상진(62) 씨는 "물곰은 냉동이 안 돼 3일이 지나면 살이 녹아 못 먹는다"며 "추울수록 맛이 있어 요즘 찾는 사람이 많다"고 했다.
◆일출은 죽변항·망양정
주요 일출 포인트는 이른 아침 고깃배가 분주히 드나드는 죽변항과 망양정 등을 꼽을 수 있다. 요즘 죽변항은 대게잡이 등 고깃배가 분주히 드나들며 풍성한 포구의 정취를 자아낸다. 이른 아침 만선의 기쁨을 안고 귀항하는 배를 배경으로 떠오르는 해맞이도 색다르다. 또 왕피천이 바다와 만나는 곳에 자리한 관동팔경의 하나인 망양정도 빼놓을 수 없는 일출 포인트이다. 내년 1일 오전 5시 30분부터 울진 망양정해수욕장에서는 일출 예정 시각인 7시 35분까지 해맞이 행사가 열린다. 소원성취 기원제를 시작으로 시낭송, 성악, 타악 공연 등이 펼쳐진다.
참석자에게는 떡국과 어묵, 커피, 음료 등이 제공된다. 또 최근 일출 명소로 각광받고 있는 황금대게공원(기성리 망양리)에서도 황금대게를 배경으로 일출을 감상할 수 있다.
아울러 평해읍 월송리의 월송정 또한 해맞이 명소로 꼽힌다. 울창한 솔숲을 지나 바닷가에 이르면 월송정이 나타나는데, 달빛 감상지로도 유명하다. 특히 신라의 화랑들이 찾아와 달빛을 즐겼다는 곳으로 소원성취 기도처로도 잘 알려져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