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신라의 해·달빛 사라지는 괴변이…

입력 2011-12-09 08:17:31

삼국유사의 연오랑 세오녀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 바닷가에 널려있는 한국 쓰레기. 신라땅과 이곳의 자연스런 교류를 보여주는 씁쓸한 증거물이다.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일본 시마네현 이즈모시 바닷가에 널려있는 한국 쓰레기. 신라땅과 이곳의 자연스런 교류를 보여주는 씁쓸한 증거물이다. 이채근기자 mincho@msnet.co.kr

신라 제 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4년(157년)에 동해 바닷가에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부부가 살고 있었다. 연오가 바다에 가서 미역을 따고 있던 중, 갑자기 한 바위(혹은 물고기)가 연오를 싣고 일본으로 가버렸다. 그 나라 사람들이 연오를 보고 '이는 비상한 사람이다' 그래서 왕으로 삼았다. (일본 제기(帝紀)를 살펴보면 신라 사람이 왕 된 이가 없으니, 이것은 변읍(邊邑)의 소왕(小王)이고, 진왕(眞王)은 아닐 것이다.)

세오는 남편을 찾다가, 남편의 벗어놓은 신이 있음을 보고 또한 그 바위 위에 올라가니, 바위는 또한 그전처럼 세오를 싣고 갔다. 그 나라 사람들이 보고 놀라서 왕께 아뢰니, 부부가 서로 만나게 되어 세오를 귀비(貴妃)로 삼았다.

신라에서는 해와 달빛이 없어지니, 일관(日官)이 말했다. '해와 달의 정기가 우리 나라에 있었던 것이 지금 일본으로 가버렸기 때문에 이런 괴변이 일어났습니다.' 왕은 사자(使者)를 일본에 보냈다. 연오는 '내가 이 나라에 온 것은 하늘이 시킨 것이니, 이제 어찌 돌아갈 수 있겠소. 그러나 나의 비(妃)가 짠 고운 명주 비단이 있으니, 이것으로써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 될 거요'라며 그 비단을 주었다. 사자가 돌아와 그 말대로 제사를 지냈더니 그런 후에 해와 달이 그전과 같아졌다. 그 비단을 임금의 창고에 간직하여 국보를 삼고 그 창고를 귀비고(貴妃庫)라 하며, 하늘에 제사 지낸 곳을 영일현(迎日縣) 또는 도기야(都祈野)라 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