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은 몹시 애를 먹거나 어려운 일을 겪었을 때, 흔히 '홍역을 치렀다'라는 말을 쓴다. 사람에게 발병하는 홍역(紅疫)이라는 전염병은 어린 나이에 걸리면 큰 고생을 하게 되는 질병이다. 강아지에게도 홍역이라고도 불리는 '디스템퍼'(Distemper)라는 전염병이 있다.
강아지 디스템퍼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염되는 질병으로 호흡기계, 소화기계, 신경계에 영향을 미친다.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면역력이 없는 강아지에게 전염되었을 때는 치사율도 매우 높은 전염병이다.
어리고 예방접종이 완료되지 않은 3~6개월령 강아지는 쉽게 감염이 될 수 있는데, 주로 콧물, 재채기 등을 통해 공기 중으로 분무되어 전파된다. 체내에 바이러스가 침입한 후 1주일 정도가 지나면 열이 나는데, 열이 심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보호자가 알아차리지 못하기도 한다. 감염된 강아지는 처음에는 콧물이 많이 나고, 눈꼽이 많이 끼면서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나타낸다. 더불어 식욕이 떨어지면서 밥을 잘 먹지 않는다. 병이 진행되면 소화기계까지 영향을 미쳐서 설사를 하게 된다. 그리고 병이 말기에 이르게 되면, 신경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강아지가 껌을 씹는 듯한 동작을 하면서 머리를 지속적으로 흔들게 된다. 이 동작은 뇌 조직의 손상으로 인해 발작이 일어나는 증상이다. 신경증상이 나타나는 강아지의 대부분은 예후가 좋지 않게 되고, 안락사를 시키기도 한다.
현재로서 강아지 홍역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그래서 항생제 처치와 수액 요법 등을 통해 2차적인 세균 감염을 막고 체내 대사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바이러스가 뇌 조직을 침투해서 신경증상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는 없다.
치료가 힘들기 때문에, 그만큼 예방이 중요하다. 어미의 젖을 통해 면역력이 생길 수는 있지만 한계가 있기 때문에, 어미의 젖을 떼는 시기부터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아지의 종합 예방접종에는 홍역 바이러스 백신이 포함되어 있는데, 생후 6~7주령부터 2~3주 간격으로 예방접종을 실시하면 면역력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예방접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강아지들과의 접촉을 막는 것 또한 중요하다.
최동학 동인동물병원 원장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대선 후보 이재명 확정…TK 출신 6번째 대통령 되나
김재섭, 전장연 방지법 발의…"민주당도 동의해야"
이재명 "함께 사는 세상 만들 것"…이승만·박정희 등 묘역참배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文 "이재명, 큰 박수로 축하…김경수엔 위로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