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안동시의 구제역 늑장 대처 문책해야

입력 2010-12-13 10:41:58

지난달 말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이 안동시의 늑장 대처로 피해가 확산됐다고 한다. 구제역 첫 의심 신고는 지난달 24일이었으나 안동시는 이 신고를 무시했다가 26일 다시 의심 신고가 접수되자 그제야 기록을 남겼다고 한다. 이마저도 간이 검사에서 음성 판정이 나오자 미적거렸다. 28일 또 다른 의심 신고를 받고서야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 정밀 검사를 의뢰했고, 양성 판정이 나와 구제역 발생을 공식 보고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구제역 6건 중 안동 등 경북 북부 지역을 포함해 올해만 3건이나 발생했다. 지난 1월 경기 포천'연천, 4월 인천 강화와 경기 김포, 충청 등지에서 구제역이 잇따라 발생해 당연히 주의를 기울여야 했다. 따라서 안동 구제역은 관련 공무원들이 초동 대처만 제대로 했다면 피해 확산을 막을 수 있었다. 최초 의심 신고가 접수된 지 닷새 만에 구제역 발생을 공식화함에 따라 방역 작업이 그만큼 늦어져 구제역 확산을 방치한 꼴이 됐다.

안동에서 발생한 구제역은 경북 북부 지역을 비롯해 도내 8개 시군으로 확산된 상태다. 12일 현재 619농가의 가축 11만 9천600여 마리에 대한 살처분이 진행 중이다. 지난 10일 영주의 한우 농가 한 곳에서 구제역 양성 판정이 난 이후 지난 주말 이후 이틀 동안 의심 가축 신고가 없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향후 추가 신고가 없다면 구제역이 진정 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볼 수도 있다니 방역과 보상 작업에 만전을 기해야 할 것이다.

남은 과제는 이번 안동 구제역을 교훈으로 삼아 구멍이 난 비상 방역 체계를 재점검하고 매뉴얼을 재정비하는 것이다. 아울러 초동 대처에 늑장을 부린 관련자들을 일벌백계로 다스려 복지부동 공무원들이 경계토록 해야겠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