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청도 경계지역 소각장 설치 '갈등'

입력 2010-12-07 11:15:00

인근 주민 "혜택은 경산, 피해는 청도" 반발

경산시가 용성면 용산리 일원에 소각장과 슬러지시설 등 자원회수시설(대형소각시설) 설치사업을 추진하는 데 대해 경계지역인 청도군 금천면 주민들이 크게 반발하고 있어 두 지역 간 갈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3일 청도 금천면사무소에서 열린 경산시 자원회수시설 환경영향평가서(초안) 공청회는 지역 주민 500여 명이 참석해 두 지역 접경 지역에 위치한 소각장 설치를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날 공청회에서는 소각장 사업자 측 환경영향평가서 설명과 금천 주민 측 전문가 반대논리 전개, 토론회 등 5시간 가까이 논쟁을 벌였다.

경산시는 입지후보지 공고를 거쳐 용성면 용산리 일원 11만7천248㎡ 부지에 소각시설(하루 처리용량 100t, 향후 100t 증설)과 슬러지 건조시설(하루 14t), 재활용선별시설(하루 30t) 등 2013년까지 국비와 민자 등 440억원을 들여 민간투자사업(BTO)으로 자원회수시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청도지역 주민들은 소각장 예정부지가 청도 금천면 갈지리와 불과 280m 떨어진 연접지역인데도 주민 의견이 반영되지 않는 등 소각장 추진 과정과 절차가 공정하지 못하고, 혜택은 경산시가 보면서 피해는 청도 금천면에 집중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유해물질로 인한 피해 우려 ▷경산시의 소각장 규모와 증설 명분 부족 ▷환경영향평가 문제점 ▷경산시 행정절차 이행 문제 등을 지적했다.

지난달 초 구성된 '금천면 소각장 설치반대 대책위원회' 박인상(54) 위원장은 "소각장 사업 예정지 약 5.5㎞ 밖에 있는 운문댐 광역상수원 오염 우려 부분을 평가하지 않은 것도 문제"라며 "인근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듣지 않고 혐오시설을 청도군 경계지점에 설치하려 하고 있다"고 반발했다.

경산시 관계자는 "현재 운영 중인 매립장의 사용연한을 최대(25년)로 연장하고 진량공단 등 3곳에서 소각장이 가동되고 있으나 시설 노후와 고장으로 인해 중장기적 폐기물 관리체계를 확립할 목적으로 환경기반시설을 확충할 계획"이라며 "입지선정 공모와 관련부처 협의를 거쳐 입지를 선정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한편 경산시는 소각장 입지 후보지로 선정된 용성면에 기금 40억원과 숙원사업비 50억원, 인근 금천면에 주민숙원사업비 10억원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청도·노진규기자 jgroh@msnet.co.kr 경산·김진만기자 fact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