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가 옮길 가능성 높은데…" 구제역 초기방역 비판

입력 2010-11-30 09:56:30

일부 축산농가 다른곳에도 운영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당국의 초기 대책이 '수박 겉핥기'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안동 서현양돈단지에서 발생한 구제역 확산 차단에 나선 방역대책반은 29일 밤부터 안동시 와룡면 양돈단지 구제역 발생지와 반경 3㎞ 이내 구제역 위험지역 내 돼지 1만4천여 마리에 대한 살처분에 나서는 한편 이날부터 구제역 위험지역을 위주로 방역통제초소와 이동초소를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구제역이 발생한 양돈단지 내 일부 축산농가가 단지 이외의 다른 지역에서 관리하고 있는 대규모 양돈시설은 구제역 방역 대상에서 빠져 방역에 구멍이 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 축산 농가 경우 사육 규모가 1만 마리에 이르는 대규모 돼지축사를 구제역이 발생한 서현양돈단지에서 36㎞나 떨어진 곳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또 다른 축산농가도 30여㎞ 떨어진 지역에서 대형 돈사를 함께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때문에 축산 농가들은 서현양돈단지에서 멀리 떨어진 돈사 2곳에서 추가로 구제역이 발생, 확산될 것을 크게 우려하며 방역 당국이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 줄 것을 바라고 있다. 구제역 감염 위험이 높은 돈사가 방역대상에서 빠진 것은 안동시에 설치한 방역대책본부가 구제역 3㎞ 이내는 위험지역, 3∼10㎞까지는 경계지역, 10∼20㎞까지는 관리지역 등으로 단순히 발생지 위주로만 구제역 위험지역을 설정하는 등 느슨한 대책을 세웠기 때문이다.

지역 축산농가들은 "구제역이 발생한 돈사에서 일하던 축사 관리자가 구제역 바이러스를 옮길 위험성이 가장 높다는 것은 상식"이라며 "방역 당국이 적극적으로 대처해 구제역 확산을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