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취수원의 구미 이전을 위해 대구시가 구미시민들에게 재산권 침해의 최소화와 적정한 보상을 하고, 자본·인력 및 기술지원을 통해 협력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구시의회 주최로 9일 대구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대구 취수원 구미 이전 관련 토론회에서 발제자로 나선 민경석 경북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구미시민들과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해 대구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이같이 제시했다.
토론자들도 대구와 구미의 갈등 해결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제시했다. 김경민 대구YMCA 사무총장은 "구미시민의 재산권 문제가 관련돼 있어 어려운 점이 있지만 대구의 물 문제는 구미국가산업단지와 관계가 있는 만큼 양측이 대승적인 차원에서 대화를 통해 문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제안했다. 남광현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감정적·정치적으로 해결하려 하지 말고, 실질적인 대안과 소외된 지역민에 대한 배려를 통해 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상원 한국습지환경협회 상임대표는 "국토해양부가 대구시와 구미시 간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고, 석민 매일신문 노조위원장은 "대구시가 너무 급하게 이 문제를 풀겠다는 자세를 버리고 여유를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순화 영남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취수원 이전은 낙동강 수질 오염 사고 대책 마련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이라며 "대구시와 구미시가 공론화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건연 경북대 건축토목공학부 교수는 "전문가 집단끼리 토론회를 열어 해답을 찾아야 할 것"이라며 "○×방식으로 접근하지 말고 다단계 전략을 통해 해결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방청객으로 나온 윤종호 구미시의원은 "사전에 대구시가 구미시와 협력했으면 큰 문제가 안 될 수 있었다"며 "하지만 상생을 강조하면서도 대구시가 약속을 깼다. 구미로 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했다. 조광현 대구경실련 사무처장도 "이 문제는 이미 정치게임으로 넘어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다"며 "취수원 이전을 백지화하고 논의 자체를 새롭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