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 목욕이 대세] 체질에 맞는 목욕법

입력 2010-11-04 14:20:59

"목욕만 잘 해도 살 빠진다" "어! 시원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피곤하면 자연스럽게 아랫목, 찜질방, 온천 등 뜨거운 곳을 찾는다. 하지만 체질에 맞는 목욕법이 따로 있다. 한의학에서 구분하는 4가지 체질에 따른 목욕법을 소개한다.

▷ 몸이 찬 소음인 저온탕→온탕→쑥탕

소음인은 키가 작고 체격이 마른 편. 신장(腎)이 크고 비장(脾)이 작다. 목욕을 오래 하지 않는 것이 좋다. 저온탕(36~39℃)에 몸을 5~10분 정도 담갔다가 온탕에 간 후 위장의 기운을 북돋우는 쑥탕을 하는 것이 좋다. 손발이 찬 사람이라면 목욕 후 인삼차를 한 잔 마시는 것을 권한다.

▷ 열 많은 소양인 반신욕'구기자 약탕

소양인은 비장(脾)이 크고 신장(腎)이 작다. 상체가 하체보다 발달해 있다. 고온욕은 금물이다. 반신욕이나 구기자, 산수유 약탕이 좋다. 사우나를 할 때도 처음부터 고온에 들어가기보다는 저온(60℃)에서 점차 온도를 올려서 하는 게 좋다. 약탕도 시원한 성질의 약재가 알맞다.

▷ 진취적인 태양인 미온욕과 보행욕

태양인은 폐(肺)가 크고 간(肝)이 작다. 고온보다는 미온욕(34~37℃)이 효과적이다. 온천이나 찜질방 같은 큰 욕조 속에서 걷거나 제자리걸음을 하는 보행욕은 약한 하체를 단련하는 데 도움이 된다.

▷ 끈기 있는 태음인 장시간 온천욕

태음인은 간(肝)이 크고 폐(肺)가 작다. 조금만 움직여도 땀을 흘리며 땀이 나면 개운해진다. 온천욕을 30분~1시간 정도 즐기면 땀을 많이 흘릴 수 있어 개운하고 신진대사가 활발해진다. 냉온욕을 하면 혈액순환을 돕고 감기도 예방한다.

권성훈기자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