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교원평가제 방법 전면 재검토해야

입력 2010-10-29 11:07:43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원에 대한 학부모의 평가 방법을 대폭 개선할 방침이다. 개별 평가를 전체 교원에 대한 만족도 평가로 바꾸고 문항도 10개 안팎에서 5개 이하로 줄인다. 다만 희망자에 한해서는 개별 교원에 대한 평가도 할 수 있게 했다.

교과부가 교원 평가 방법을 1년도 채 안 돼 수정하기로 한 것은 현재 교육 정책의 무리한 추진을 그대로 보여준다. 교과부는 올해 3월부터 교원평가제를 전면 실시하면서 장기적으로 이를 인사나 성과급 지급 등에 반영하기로 했다. 교총이나 전교조의 반대가 있었음은 물론이다. 그러나 제대로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추진을 하다 보니 곳곳에서 문제점이 드러났다. 학부모 평가 방식이 대표적이다. 잘 모르는 개별 과목 교사는 물론 영양, 보건, 특수 교사까지 평가해야 하는 불합리함이 나타난 것이다. 올해 평가 응답률이 50%도 안 된 것이 이를 증명한다.

새로 고쳐 시행하겠다는 것도 문제가 많다. 교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겠다는 것인데 이는 교과부가 추진하는 교원 평가와 거리가 있다. 개별 교원에 대한 평가가 이뤄져야 이를 인사나 성과급 등에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국 학부모의 교원 평가는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인 구색 갖추기 식에 지나지 않는다.

교원평가제는 개개인뿐 아니라 공교육 활성화와 맞물려 있는 중요한 문제다. 그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아무런 합리성이나 설득력이 없는 허술한 방법으로는 안 된다. 방법을 전면 재검토하는 것이 옳다. 구색을 갖추기 위한 형식적인 요소는 모두 제거해 실질적인 평가가 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 정부가 정책을 추진하면서 구색을 갖추려는 것은 문제가 생겼을 때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수단일 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