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말까지 영어로 쓰인 논픽션 분야에서 성경 다음으로 많이 팔린 책은? 미국의 경제사상가 헨리 조지(1839~1897년)가 1879년에 펴낸 '진보와 빈곤'이다. 출판사의 거부로 처음에는 자비로 500부만 찍었던 이 책의 메시지는 "부의 불평등한 분배의 가장 큰 원인은 토지소유의 불평등이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토지 소유에서 생겨나는 불로소득을 전부 세금(토지가치세)으로 환수하고 다른 모든 세금은 폐지하자"는 것이다. 이른바 '단일세' 이론이다.
조지는 필라델피아의 영세한 출판업자의 10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 가난 때문에 14세에 학업을 그만두고 선원, 사금채취, 인쇄공 등 여러 직업을 전전하다 언론인이 된 입지전적 인물이다. 1897년 노동단체 후보로 뉴욕시장에 출마했다가 투표 4일 전인 그해 오늘 과로로 사망했다.
참여정부 부동산정책의 얼개를 짠 사람들에게 큰 영감을 준 그의 사상은 많은 추종자를 낳았다. 이들을 '조지주의자'(Geogist)라고 부른다. 그에 대한 평가는 극단을 오간다. "토지가치세는 가장 덜 나쁜 세금"(밀턴 프리드먼)이란 평가가 있는가 하면 "비판할 가치도 없다"(앨프레드 마셜), "잉여가치의 특성을 이해하지 못한 공허한 이론"(마르크스)이란 평가도 있다.
정경훈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