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방노동청 '부실 고용·감독' 도마 올라

입력 2010-10-12 10:43:43

최저임금 위반업체 3년간 3천5백여 곳, 사법처리 건수는 '0'

12일 부산지방고용노동청에서 열린 대구·부산고용노동청 국감에서는 지역의 부실한 고용정책, 관리 감독 등이 도마 위에 올랐다.

주호영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을)은 현행법상 반드시 실시하게 돼 있는 지역의 청소년 직업 지도 건수가 3년간 한 건도 없는 점을 지적했다. 주 의원에 따르면 올해 10월 말 현재 직업심리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한 대구고용노동청의 진로·직업상담 등 직업 지도 건수는 전무했다. 특히 대구청 소관 경주센터의 경우 청소년 직업심리검사 및 직업지도는 지난 3년간 연속으로 단 한 차례도 이뤄지지 않았다. 주 의원은 "대구지역 청년 실업률이 올해 2/4분기 현재 9.5%로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다"며 "지역의 청소년들이 각자의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직업지도 강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강성천 의원은 지역의 높은 실업률의 이유를 민간 직업훈련기관의 붕괴에서 찾았다. 강 의원은 "훈련기간 단축 성과만 연연하는 '직업능력개발계좌제'는 실업자를 위한 정부의 일자리 창출과 거리가 멀 뿐 아니라 민간훈련기관의 붕괴를 초래하고 있다"며 "영남권의 많은 직업전문학교들이 경영난에 시달려 전업내지 폐업을 고려하는 등 그 여파는 전국에서 가장 먼저 대구경북권에 불어 닥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신영수 의원은 최저임금법 위반 업체에 대한 부실한 관리·감독을 꼬집었다. 신 의원은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대구청 내 최저임금법 위반 업체는 무려 3천556건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사법처리된 업체는 단 한 곳도 없다"며 "최저 임금 위반은 3년 이하 징역이나 2천만 원 벌금에 처할 수 있지만 이 같은 지역 내 솜방망이식 징계 때문에 대구지역 위법 업체들은 '위반해도 잘 넘어갈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