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지자체 5년간 이용실태 국감…출장 홍보 불필요한 운항 훨씬 많아
정부가 거액을 들여 구입해 지자체에 공급한 응급구조헬기가 시·도지사의 전용기처럼 사용되고 있어 '구조용 헬기가 자가용이냐'란 비판이 일고 있다.
응급구조헬기가 도입된 8개 지자체 중 대구경북을 포함해 강원, 충북, 전남, 경남 등 전국 6개 지자체의 운영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헬기 도입의 주목적인 응급환자 이송을 위해 운항한 횟수는 전체 2천775건 중 359건으로 13%에 불과했다.
대구의 경우 전체 운항 횟수 대비 응급환자 이송 비율은 0.8%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고, 경북도 4%로 저조했다. 전남과 경남의 응급환자 이송 비율 29%에 훨씬 못 미치는 비율이다.
응급구조헬기의 운항 횟수 중 응급환자 이송 비율은 낮은 반면 시도지사의 출장 및 도내 홍보 등 기타 목적을 위한 운항 횟수는 상당했다. 지난 3년간 경북의 응급구조헬기 기타 목적 운항 횟수는 총 24건으로 이 가운데 11건이 도지사 및 부지사의 업무 지원이었고 도의원·공무원 업무 지원을 위해 활용한 횟수도 7건에 달했다. 대구의 경우도 기타 목적으로 응급구조헬기가 사용된 5건 중 시장·부시장과 시의원·공무원이 사용한 횟수는 각각 2건에 달했다.
현재 대구는 2005년 러시아에서 도입한 KA-32T를 운영 중이고, 이듬해 경북은 프랑스제 AS365N3을 도입해 활용 중이다. 각각 40억원을 들여 수입한 헬리콥터다.
자료를 공개한 한나라당 손숙미 의원은 "시·도지사 업무 지원 세부 내역에는 대통령 생가 방문, 방송사TV토론회 프로그램 출연, 마라톤 대회 참석, 낙동강 지역 시찰, 독도 방문, 승마 대회 참석 등 굳이 응급구조헬기를 이용해야 할 필요성이 없는 사안이었다"며 "헬기 도입 예산만 지원하고 수수방관하고 있는 보건복지부가 지금이라도 원래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관련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