탱크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제1차세계대전 당시 치열한 참호전 때문이었다. '철조망→참호→기관총 진지→포병 진지'로 구성된 적 진영을 돌파하는 것은 아예 불가능했다. 고작 1m를 전진하는 데 5천 명의 사상자가 나기 일쑤였다.
1914년 전쟁 발발과 함께 어네스트 스윈튼(1868~1951) 소령은 영국 육군성의 종군기자가 됐다. 영국 정부는 언론사의 전선 취재를 불허하는 대신, 참전 경험이 많은 장교를 종군기자로 임명했다. 프랑스 전선 취재 중 영국군이 돌격하다 독일군의 기관총에 무수히 쓰러지는 참상을 지켜보고는, 새 무기의 필요성을 느꼈다. 무한궤도 바퀴의 트랙터가 농촌에서 사용되고 있는 데 착안, 탱크의 아이디어를 냈다. '동력구동식, 방탄기능, 무한궤도 바퀴' 3가지 원칙을 제시했는데 오늘날 탱크의 원형이 됐다. 육군성은 이 제안을 무시했지만 해군장관 윈스턴 처칠이 채택, 탱크가 제작됐다.
1916년 오늘, 마크Ⅰ탱크 49대가 프랑스 솜므전투에 첫 투입됐다. 위력은 크게 없었지만 덩치 큰 쇳덩어리가 등장한 것 자체로 독일군을 공황상태에 몰아넣었다. 이때 혼쭐이 난 독일은 2차세계대전 때 독자적인 탱크전술(전격전)을 들고나와 연합군을 초토화시킨다.
박병선(사회1부장)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