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더미 LH공사 보상지연…地主들도 '빚더미'

입력 2010-09-13 10:36:36

엉망된 이주 계획, 매달 이자만 나가 파산 위기

이달 10일 대구 달서구 대곡 2지구 LH공사 사업지구에서 주민들이 조속한 보상을 촉구하며 집회를 열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이달 10일 대구 달서구 대곡 2지구 LH공사 사업지구에서 주민들이 조속한 보상을 촉구하며 집회를 열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가 자금난으로 대구경북의 사업지구에 대한 토지보상을 미루면서 사업지구에 포함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특히 대형 국가개발사업을 떠맡아 100조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는 LH공사가 다음달 초부터 보상 지연 사업을 축소하거나 재조정할 것으로 알려져 주민 반발은 더 커질 전망이다.

대구 달서구 대곡 2지구(대곡동·도원동) 주민들은 10일 대곡동 정부합동청사 조성부지에서 "LH공사는 사업예정지 부지에 대한 보상을 빨리 시행하라"며 시위를 벌였다.

작년 하반기부터 대곡 2지구 보상대책위원회를 구성, LH공사와 다투고 있는 주민들은 "LH공사의 사업지구 지정과 보상계획에 따라 이주 계획을 짜놨는데 보상이 지연돼 큰 피해를 입고 있다"며 "LH공사는 조속히 보상을 시행하라"고 요구했다.

2008년 11월 사업지구로 지정 고시된 대곡 2지구는 보상금이 2천99억원이지만 전체 면적 76만2천㎡ 중 정부합동청사와 일부 아파트가 들어설 곳에만 보상금이 지급됐을 뿐 60만8천㎡에 대한 보상은 미뤄지고 있다. 또 2009년 4월 보금자리주택 사업지구로 지정된 도남지구(90만9천㎡)의 보상금은 2천376억원이지만 보상금 지급은 전무하다.

LH공사는 부채 규모가 무려 118조원에 이르러 자금 조달이 어려운 탓에 사업이 지연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해당 지역 주민들은 LH공사가 말 바꾸기를 계속하며 보상금 지급을 미루고 있다며 본사 항의방문 등 강력한 대응을 하겠다고 밝히고 있다.

대책위 박달수 위원장은 "4대강 사업을 급히 추진하면서 그쪽으로 자금이 모두 흘러가니 우리에게 줘야 할 돈이 없는 것 아니냐"며 "LH공사가 보상 약속은 지키지 않은 채 형편이 어렵다는 말만 할 뿐 1천300여 주민을 울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상일 국회의원(미래희망연대)실에 따르면 LH공사의 사업지구 중 아직까지 보상이 이뤄지지 않은 곳은 전국적으로 138개 지역, 1억9천561만㎡에 이른다. 경기도(40곳, 8천834만5천㎡)가 가장 많은 지역을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경북은 3위(8곳, 1천355만㎡), 대구는 4위(일부 보상지구 1곳 포함 3곳, 1천3만8천㎡)에 올라 있다.

대구의 경우 대곡2지구(달서구 대곡동, 도원동)와 도남지구(북구 도남동, 국우동), 국가산단지구(852만1천㎡) 사업 추진에 제동이 걸려 있다. 경북에는 포항 융합경제자유구역지구(375만7천㎡)와 국가산단지구(620만3천㎡), 경산 무학지구(130만5천㎡) 등 8곳에 대한 보상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와 경북도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건축주택과 안희열 주무관은 "보상금 지급이 늦어지면 토지 소유자들은 파산할 수밖에 없다"며 "국토해양부와 지역 국회의원 등 여러 통로를 동원해 사업이 계속 추진될 수 있도록 설득 작업을 펴고 있다"고 했다.

경북도 건축지적과 이우석 과장은 "LH공사의 사업 재조정 발표 때 경북 지역 사업지구가 누락되지 않도록 정부와 국회에 적극적으로 주민 입장을 설명하는 중"이라고 밝혔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