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광부 장관 '주호영 급부상'…'TK역차별' 해소에 관심

입력 2010-08-30 09:48:10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자진 사퇴하면서 주호영 특임장관의 적임자론이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청와대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일단 유임시켰으나 연내에 문화부 장관을 임명할 예정이어서 이 때 주 의원의 발탁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는 것.

국회의장·부의장 등 국회직과 당 대표·원내대표·최고위원 등 당 지도부를 수도권·PK(부산경남)가 싹쓸이하고, 주 장관을 비롯한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과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 등 그나마 위안이 됐던 TK 출신 국무위원들이 모두 교체될 예정. 때문에 주 장관이 'TK 역차별'이라는 한파 속에서 구원투수에 오를지 기대를 모으고 있다.

주 장관은 일단 지난해 특임장관 인사청문회를 무사 통과하면서 검증에 성공했다는 장점이 있다. 당시 다운계약서 공방 등이 제기됐지만 주 장관의 적절한 해명과 설득, 주장으로 무사히 자리에 올랐다. 이어 주 장관은 이명박 정부의 '특별한 임무'를 수행하면서 친이-친박 계파에 묻혀 제구실을 하지 못하던 당·정·청 소통의 물꼬를 트고, 당내 친이-친박의 엇갈린 입장을 조율하고 대(對)야권 대화에도 힘써 높은 평가를 받았다.

주 장관이 문광부 장관 적임자로 떠오르고 있는 것은 알려진 대로 ▷불교계 인맥이 넓은 데다 ▷문화적 소양이 있고 ▷연예인 출신이 아니어서 중립적이며 ▷판사 출신 재선 의원으로 특유의 소통력과 친화력을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명박 정부 초기 쇠고기 파동과 종교 편향 논란이 한창일 때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를 넘나들며 설득과 이해를 촉구했고 세종시, 4대강 사업 등에 대해서도 대야권 소통 창구로서 궂은일을 도맡아 했다. 친이계 핵심이라고 불리면서도 친박계에 큰 적이 없다는 것도 장점이다.

주 장관은 신 장관 후보자가 내정되면서 최근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장에 내정됐는데 한나라당도 그만큼 주 장관의 정치력과 자질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 관건은 이명박 대통령의 선택이다. 8·8개각에서 'TK가 역차별당했다'는 대구경북의 목소리를 이 대통령이 귀담아 들을지, 그냥 흘려들을지 주목되고 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