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청문회 마무리, 민심 거스르지 말아야

입력 2010-08-27 10:53:50

국회 인사청문회가 '죄송 청문회'란 불명예스런 꼬리표를 단 채 일단 끝났다. 인사청문회의 취지는 능력과 도덕성 검증이지만 능력 검증은 뒷전이 됐다. 청문회를 통해 드러난 후보들의 행적은 국민들에게 배신감과 분노를 불렀다. 앞으로는 준법을 강조하면서 뒤로는 불법을 서슴지 않았고 남에게는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고서도 자신의 이익에는 관대했다. 국민에게 봉사하겠다는 그들의 말을 곧이곧대로 믿을 국민이 얼마나 될지 알 수 없다.

이제 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임명 동의안 처리와 대통령의 임명 절차가 남았다. 청와대와 여당은 후보자들에게 문제가 적지 않지만 일정에 따라 진행하길 바라는 반면 야당은 총리 후보자의 인준과 부도덕 후보자 임명 반대를 선언했다. 정국이 요동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법에 따라 실시된 청문회의 뒤처리도 법 절차대로 진행돼야 한다.

반대와 찬성을 불문하고 동의안 표결 등 절차를 국회는 지켜야 한다. 국민과의 소통은 여야를 막론한 정치권의 화두다. 소통의 전제는 신뢰다. 후보들의 불법을 꾸짖은 국회가 스스로 만든 규칙을 어긴다면 이는 소통이 아니다. 고위 공직 후보로서 자격이 있는지 여부는 국민들도 저울질하고 있다. 총리 후보의 동의안 처리를 매개로 일부 장관 후보는 낙마시킨다는 빅딜설이 나오지만 어설픈 흥정은 국민의 반감만 불러온다.

청와대도 비리 의혹을 변명하느라 이리저리 말을 바꿔가며 죄송과 반성을 되풀이한 후보들을 그대로 임명할지 고심해야 한다. 청문회는 통과의례가 아니라 검증의 과정이다. 절차가 끝났으니 그냥 넘어가자는 식이라면 누가 대통령을 믿고 지지할 수 있을까. 국민을 분노하게 만든 후보의 임명은 국민을 다시 좌절과 불신으로 빠뜨린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