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靑 관계도 벌써부터 걱정
다음주 시작될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여권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정공법을 구사하고 있지만 내정자들의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터져나오고 있어 대응하기가 수월치 않기 때문이다.
홍준표 한나라당 최고위원은 최근 "내각의 면면을 보니 흠 있는 인사도 있고, 책임져야 할 인사도 포함돼 다소 유감스럽다"면서 "인사 청문 과정에서 옥석이 가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를 덮는 데 골몰하지 않고 청문회에 당당하게 임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하루가 멀다 하고 쏟아져 나오는 내정자들의 새로운 의혹들로 긴장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17일 하루 사이 새롭게 터져나온 의혹만도 김태호 총리 내정자의 생활비 문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의 5차례 위장 전입과 부인의 위장취업 문제 등 10여 건에 이른다. 별다른 문제가 없을 것 같았던 박재완·진수희 등 정치인 입각 내정자들에 대한 자녀 국적 문제도 불거졌다.
이와 함께 노무현 전 대통령 차명계좌와 천안함 유족에 대한 동물 비하 발언을 한 조현오 경찰청장 내정자 문제도 언제든지 터져나올 지뢰로 잠복해 있고, 청문회 관련 증인 채택 문제도 여당으로서 야당과 풀어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 일각에서는 "인사청문회에서 모두 생환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이 긴장하는 또 다른 이유는 당-청 관계 때문이다. 여당이 제대로 청문회를 치러내지 못할 경우 청와대의 당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다. 여당도 사전 조율되지 않은 통일세 발언으로 인해 청와대에 시큰둥해 있다. 한나라당 지도부는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대표와의 회동을 앞두고 어떡하든 청문회를 매끄럽게 마무리하려고 부심하고 있지만 녹록지 않은 상황이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