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 범위·연령 한정특약 활용하라

입력 2010-08-17 10:36:05

내달 2-3% 오르는 車보험료 아끼려면

다음달부터 자동차보험료가 2~3% 오른다. 자동차 보험료가 운전자 1인당 평균 70만원인 점을 감안하면 적어도 2만원 이상 더 내야 하는 셈이다. 보험료는 오르지만 좀 더 알뜰하게 자동차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손해보험사들이 소비자들의 마음을 누그러뜨리기 위해 내놓은 다양한 제휴서비스도 눈길을 끈다.

◆보험료 얼마나 오르나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가 다음달 3.1%(기본보험료 기준) 인상하는 것을 비롯해 현대해상 2.9%, 동부화재 3.2%, LIG손해보험 2.8%, 롯데손보 3.0% 등 보험사별로 보험료가 2~3% 오를 전망이다.

당초 손해보험업계는 정비수가 인상과 손해율 상승, 누적 적자 등을 이유로 6~7%의 보험료 인상을 추진했다. 그러나 물가 상승과 서민 부담을 가중시킨다며 여론의 뭇매를 맞았고, 정부의 물가 인상 억제 방침에 밀리면서 인상폭을 절반으로 낮췄다. 손보사들은 보험료 인상은 정비수가 인상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주장한다. 또 인상 요인 중 하나였던 손해율 상승은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 손해율은 고객이 내는 자동차보험료 중 보험금으로 지급되는 비율을 뜻한다.

◆자동차보험료,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자동차 보험료 부담을 줄이려면 일단 운전이 가능한 범위를 실제 운전자로 좁히는 것이 중요하다. 가령 운전자 범위를 1인 한정 특약으로 제한할 경우 '누구나 운전' 특약보다 보험료가 30% 이상 싸다. 만약 1인 한정인 상태에서 다른 가족이 운전할 경우 보험사에 연락하면 일정 기일 동안 운전자 범위를 추가할 수 있다.

연령 한정을 잘 따져도 보험료를 아낄 수 있다. 운전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보험료가 오르는 탓이다. 21, 24, 26, 30, 35, 48세 등 다양한 연령 한정 가운데 본인에게 적합한 연령대에 맞게 가입하면 된다.

숨어있는 운전 경력을 찾아도 보험료 할인에 도움이 된다. 정부기관이나 법인에서 운전직으로 근무했거나 군대에서 운전병으로 일한 경험이 있다면 자동차보험료를 줄일 수 있다. 외국에서 자동차보험을 가입한 경우에도 증빙서류를 내면 기간에 따라 보험료가 할인된다. 비교 견적도 빼놓을 수 없다. 보험사들은 모두 다른 자동차보험 요율표를 사용하기 때문에 보험사마다 유·불리를 반드시 따져봐야 한다. 손해보험협회 사이트에 마련된 보험료 비교공시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대형사, 중형사, 온라인보험사 별로 직접 연락해보는 것도 좋다.

◆보험사 간 서비스 차이도 관심

손해보험사들이 앞다퉈 내놓고 있는 각종 제휴 마케팅이나 부가서비스, 제휴 카드 등을 이용해도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최근에는 특히 '보험'과 '증권'이 결합한 제휴 서비스가 유행이다. 주식 관련 거래를 통해 적립한 포인트로 차 보험료를 결제해 주는 것. 현대하이카다이렉트가 신한금융투자와 손잡고 내놓은 '굿아이 빅3 오토 서비스'는 '굿아이'를 이용해 증권투자를 해서 빅3포인트를 쌓으면 포인트로 보험료를 결제할 수 있다. 동부화재가 동부증권과 제휴한 '프로미스탁'은 주식거래대금 1천만원당 1천원의 프로미스탁 포인트가 지급되고, 받은 포인트는 역시 차 보험료로 낼 수 있다. 교보악사다이렉트가 롯데·현대·하나SK카드 등과 함께 내놓은 제휴 카드는 주유 포인트 적립이나 정비 우대, 쇼핑, 여행, 영화관 할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삼성화재가 선보인 '쿡앤쇼 애니카' 서비스는 2개 이상의 KT상품을 결합해 가입하면 무료로 운전자보험을 가입해주고, 통신요금 사용에 따른 적립금을 보험료 한도에서 캐시백해 준다. '쇼 애니카'는 통신요금에 따라 연간 최대 30만원을 적립할 수 있다. 에르고다음다이렉트가 출시한 멤버십 카드인 '다이렉트패스'는 인터넷, 여행상품 할인 혜택 등을 주고 롯데손보는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SK에너지 등 롯데멤버스 제휴사를 이용할 때마다 구매금액의 일정률을 적립해주고 있다. 더 케이손보는 교통안전공단과 제휴해 자동차검사 수수료 할인과 상조서비스 가입 시 최대 28만7천500원을 깎아주는 '예다함' 서비스를 출시 중이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