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인 사찰피해 3인방, 검찰 때리기 공조

입력 2010-08-13 10:34:05

정두언 등 수사발표 이의제기

정치인 불법사찰 의혹 사건의 피해자로 거론되고 있는 한나라당 정두언 최고위원과 남경필·정태근 의원 등 3인방이 12일 검찰 중간수사 발표에 공개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이명박 대통령의 서울시장 시절 부시장을 지낸 두 의원과 중진 의원이 미리 약속이나 한 듯이 '검찰 때리기'에 공동 보조를 맞춘 것이다.

정두언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군사독재 시대에나 있었던 정치인 사찰이 발생했으나 검찰이 적당히 덮었다"며 "검찰이 이 사건의 실체를 밝히지 못한 게 아니라 수사를 안 한 것이 분명하다"고 공격했다. 그는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왜 파괴했고 누가 했는지 금방 알 수 있는데 검찰은 모른다고 했다"면서 "이는 검찰 전체의 문제가 아니라 출세욕에 눈먼 일부 검찰 간부의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정태근 의원도 같은 날 성명을 통해 "검찰이 '1차 수사결과'라고 밝힌 것은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수사관 2명만 구속하고 수사를 마무리하려 한 것을 연상케 한다"며 "검찰 수사를 존중한다는 최근 한나라당 대변인의 성명에서 보수의 철학도 역사 의식도 결여한 과거 어두운 보수정당의 모습을 본다"고 꼬집었다.

남경필 의원은 한 라디오 방송에 출연, "사건의 본질을 흐리는 세력이 있다는 개인적 심증과 진전된 정보가 있다"며 "(특정인이) 수사 진행 방향을 보고받고 있다는 얘기가 들리는 만큼 그 사람이 몸통이거나 몸통의 일부일 수 있다. 이런 것들이 반드시 밝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앞으로도 공동 대응할 움직임이다. 남경필 의원은 "검찰 수사가 지지부진하면 한나라당 내부에서도 특검과 국정조사에 대한 설득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주장했고, 정태근 의원은 "검찰이 수사팀을 교체하고 재수사하지 않으면 검찰이 아닌 수사 주체를 도입하자는 주장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검찰을 압박했다.

민주당도 공세의 고삐를 늦추지 않았다. MB정권 국민 뒷조사 진상규명특위 위원장인 박영선 의원은 이날 "검찰은 (불법사찰 내용을 담은) 컴퓨터 파일이 전부 삭제됐다고 하지만 검찰이 온전한 파일을 일부 확보하고 있다는 제보가 들어와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박기춘 원내수석부대표도 "검찰은 의심을 받아온 박영준 총리실 국무차장과 한나라당 이상득 의원에 대해선 조사조차 안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이상득 의원과 박영준 국무차장은 무대응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여권 핵심부에서는 박 차장이 차관급 인사에서 권력과 먼 곳으로 갈 것이란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