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업체 임금 후려치고, 주민들은 더위 참으라해
2일 오후 대구 서구의 한 아파트 경비실. 6.6㎡(2평)도 채 되지 않는 좁은 경비실에서 최명모(63) 씨가 숨을 헐떡였다. 가마솥 더위에다 통풍도 되지 않는 경비실을 지켜야 하는 최 씨는 얼굴에 흐르는 땀을 닦아 내기에 바빴다. 내리쬐는 햇볕을 막아보려 만든 가림막도 더위를 막기에는 역부족. 얼굴을 선풍기에 바짝 들이밀어 보지만 온몸에 흐르는 팥죽땀은 가시지 않는다.
최 씨는 "여름휴가철은 경비원들에게는 가장 바쁘면서도 잔인한 때"라며 "땡볕 아래에서 재활용 수거와 주차 관리를 하다 보면 땀이 비 오듯 흐른다"고 말했다.
그는 무더위와 사투를 벌이지만 수중에 들어오는 돈은 한 달에 90만원이 안 된다. 그러나 그만둘 생각은 엄두도 못 낸다. 2006년 회사를 그만둔 후 3년 만에 어렵게 구한 일터이기 때문이다.
한때 퇴직자들이 몰리면서 '꿈의 직장'으로까지 불렸던 아파트 경비원이 열악한 근무여건 속에 힘겨운 여름을 보내고 있다. 폭염 속에 건강관리가 쉽지 않지만 냉방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다.
대구고용노동청에 따르면 아파트 경비원과 같은 '감시직 근로자'는 노동부 장관 승인을 받은 사업장의 경우 최저임금의 80%까지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근로휴식시간, 휴일 등은 일반직처럼 보장받지 못한다.
달서구 한 아파트의 경우 2년 전부터 아파트 무인화를 위해 야간근무를 없애면서 전체 경비원 30명 중 10여 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경비원 한모(62) 씨는 "최저임금법이 적용되면서 경비원들의 처우는 오히려 더 나빠졌다"며 "일자리는 갈수록 줄고 월급도 오르지 않았다"고 하소연했다.
언제 잘릴지 모르는 상황이다 보니 한 사람 들어가는 좁은 경비실에 에어컨을 놓아달라고 요구할 수도 없는 노릇. 2년 가까이 중구 한 아파트에서 경비를 서고 있는 정모(65) 씨는 "이 나이에 여기 아니면 어디서 일할 수 있겠냐"며 "찌는 더위 속에 긴팔 유니폼을 입고 단추도 목까지 채우고 있으면 숨이 콱 막히지만 에어컨 얘기는 입밖에 꺼내지도 못한다"고 했다. 정 씨는 아스팔트에서 올라오는 지열 때문에 한낮에는 아파트 안 나무그늘에서 근무를 선다고 했다.
경비 수주를 따내려는 용역업체들이 임금을 후려치면서 경비원의 근무여건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기대도 할 수 없다.
중구 한 용역업체는 "수주 단가가 턱없이 낮기 때문에 경비원 월급을 주고 나면 남는 돈은 얼마 되지 않는다"며 "경비원들의 처우 개선은 꿈도 못 꿀 형편"이라고 고개를 가로저었다.
경비원들은 근무환경 개선은 힘들더라도 더위를 참아낼 수 있도록 주민들이 조금만 관심을 가져주길 바라고 있었다. 한 경비원은 "아파트 경비원들 말고도 찜통더위를 악으로 견뎌야 하는 고령의 근로자가 수없이 많다"며 "지나는 시민들이 시원한 물 한잔이라도 건네주거나 조금만 더 마음을 써 주면 큰 위안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노경석 인턴기자 nk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