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통과 상생, 스스로를 위한 일이다

입력 2010-07-31 07:19:33

소통이 이 시대 한국 사회의 최대 화두가 되고 있다. 지방선거 이후 정치권의 화두로 등장한 소통은 교육계와 경제계로 확산되면서 우리 사회 전체의 절실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나와 다른 남과의 소통은 국민 전체의 상생을 위한 기본 조건이다. 현재 빚어지는 정치 교육 경제 사회 각 분야의 대립과 갈등은 소통 부재에 기인한 바 크다. 보수와 진보, 여와 야, 부자와 서민이 서로 자기들의 주장만 내세우고서는 상생은 요원한 일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소통과 상생이 사회 이슈가 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29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전경련도 대기업의 이익만 옹호하려는 자세를 가져선 곤란하며 사회적 책임도 함께 염두에 둬야 한다"고 주문했다. 전경련이 "정부와 정치권이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가치관을 굳건히 하는 데 힘써 달라"고 밝힌 지 하루 만이었다. 대통령은 "전경련이 대기업 중심으로 생겼지만 대기업 이익을 추구하는 단체로 가면 안 된다"고도 강조했다.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전경련은 정부와 싸우자는 게 아니라며 진화에 나섰다. 청와대 대변인도 대통령의 발언은 전경련을 표적으로 말한 게 아니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의 연장선상에서 말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발적 상생이 중요하며 강제 상생은 의미가 없다는 대통령의 말도 덧붙였다. 대립과 갈등을 빚는 집단 간의 소통과 상생을 강조한 말이라는 의미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갈등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지만 최근 우리 경제가 회복 국면을 넘어서고 큰 폭의 무역흑자를 기록하면서 확산되고 있다. 경기 회복을 느끼는 대기업과 달리 중소기업의 상황은 심각하다. 경영 상황이 개선됐다고 여기는 중소기업은 전체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며 무리한 납품단가로 생존 자체를 위협받는 곳도 많다. 대기업과 달리 상당수 중소기업은 여전히 돈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 서민들의 사정도 마찬가지다. 경기가 살아났다지만 서민들에게는 남의 나라 이야기다. 경기 회복 발표에도 위축된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다.

자유 경쟁의 시장 논리는 당연하다. 그러나 경제적 약자와 강자의 간극이 커지는 현 상황을 감안할 때 힘의 논리는 약자를 위협한다. 경제적 약자와 강자의 지나친 간극은 우리 사회의 미래를 어둡게 한다. 상생은 양보와 협력이 기본이다. 중소기업이 무너지면 대기업도 힘을 잃기 마련이다. 서민들이 몰락하면 부자들의 입지도 좁아진다. 소통과 상생은 남이 아니라 나를 살리는 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