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병자들 사는 마을 폭발물 해체 임무 병사 왕으로 받들어지고
제 1차 세계대전 때 영국군에 맞서 싸우던 독일군은 프랑스의 한 작은 마을에 폭발물을 심어둔다. 영국군이 도착하면 그 폭발물이 터져 마을이 쑥대밭이 되는 것이다. 이 소식을 들은 마을 사람들은 모두 도망을 갔다.
그런데 근처에 있는 한 정신병원 환자들은 병원 문이 열려 있는 걸 보고 처음엔 망설였지만 이내 그들도 병원에서 탈출, 마을로 향하게 된다. 영국 군인 찰스는 폭발물 해체 임무를 맡고 이 마을에 도착한다. 그리고 장군, 헤어드레서, 광대, 매음굴 마담 복장을 한 정신병원 환자들이 마을을 장악한 것을 발견하게 된다.
정신병원을 뛰쳐나온 그들은 찰스가 꿈꿔오던 삶을 살고 있는 듯 보였다. 그리고 그들은 찰스를 그들의 왕으로 맞이했다. 찰스는 자신이 마법과도 같은 곳에 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그 '미친' 사람들의 친절함과 인간적인 모습에 감동을 받는다. 그리고 무시무시한 전쟁을 일으키고 있는 사람들이 그들보다 더 미친 사람들이라고 생각하기에 이른다. 또한 '코쿨리코'라는 아름다운 여성을 만나 사랑에 빠지게 된다.
제 1차 세계대전 당시, 특수부대원인 주인공 찰스는 폭발될 뻔했던 한 마을을 구했다. 그리고 그는 군복을 버리고 정신병원 문 앞에 알몸으로 나타난다. 문명의 이기 속에서 스스로를 파괴하는 사람들보다는 아이 같이 순수한 사람들과 함께 살기로 선택한 것이다.
전쟁의 참상을 코미디로 그려낸 필립 드 브로카 감독의 작품이다. 필립 드 브로카 감독은 알제리 전쟁 당시 군 보도실에서 일했다. 당시 전쟁터에서 참혹한 현실을 경험한 것을 계기로 그는 영화에서 의도적으로 인간 삶의 긍정적이고 환상적인 면모를 보여주기로 결심한다. 1950년대 전반 아프리카 등지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에 매진하다가 1960년 장-피에르 카셀을 주연으로 한 '장난꾸러기', '사랑의 장난' 등의 코미디 작품을 내놓으며 감독으로 이름을 알린다.
1963년 장-폴 벨몽도 주연의 '리오의 남자'로 국제적 명성을 얻은 그는 2004년 암으로 세상을 뜰 때까지 꾸준한 작품 활동을 펼쳤으며 영화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받기도 했다. 1966년 프랑스 작, 방송 길이 102분.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