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학연수는 교양…전공은 자원봉사·취업 인턴십이죠

입력 2010-07-02 08:08:51

여름방학 해외로… 해외로…

여름방학 시작과 함께 대학마다 해외로 향하는 학생들이 줄을 잇고 있다.

단순 어학연수에서 벗어나 취업 연수나 자원봉사를 위해 해외로 떠나는 학생들이 해마다 늘고 있으며 대학들도 다양한 해외 체험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

대학가 관계자들은 "방학철 해외 연수나 자원봉사, 어학 연수 등은 대학생활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고 있다"며 "기업이나 사회에서 글로벌 인재를 요구하는 만큼 이러한 추세는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문대 해외 연수 열풍

국내 일자리가 줄면서 전문대들의 최고 화두는 '해외 일자리' 마련이다. 대학마다 해외 기업과 협약을 체결해 학생들의 취업 전 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정부의 지원 폭도 해마다 늘고 있다.

영진전문대 전자정보통신계열 2학년생 24명이 8월까지 일본 IT 분야 기업체에서, 컴퓨터응용기계계열 일본자동차설계반 29명도 일본 후쿠오카시 ㈜산마츠공업 등 8개 회사에서 현장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영진전문대 관계자는 "관광 계열 학생 29명이 중국 칭다오기술대에서 연수를 받고 있는 등 200여 명의 학생들이 해외 연수에 참가하고 있디"며 "해외 연수는 직무 능력 향상에 상당한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대경대도 지난해 70여 명이 해외 연수에 참가했으며 올 여름방학에는 50여 명의 학생들이 골프리조트와 선상 크루즈 연수 등에 참가한다.

일본 동물원 연수에 참가하는 황소희(동물조련이벤트과 2학년) 학생은 "해외 인턴십을 통해 실무 능력과 어학 실력을 키울 수 있으며 취업에도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영남이공대학은 8억 원의 예산으로 139명의 학생들에게 해외 연수를 지원하고 있으며 참가 학생들은 일본과 캐나다, 미국, 중국 등 5개국에서 한 달에서 6개월간 현장 체험 학습을 진행하고 있다.

또 대구보건대는 지난달 27일부터 보건계열 학생 10명이 캐나다 병원으로 연수를 떠났고 대구과학대학도 12명의 학생들이 중국 연변대학 공학설계원 등에서 현장 실습을 하고 있으며 대구산업대는 23명의 학생들이 해외 연수에 나섰다.

◆해외로 농활 떠나요

해외자원봉사를 경험한 학생들은 "해외봉사가 힘든 일정으로 짜여져 있지만 젊은 시절 '생존'의 문제에 직면해 있는 저개발국을 찾아 봉사 체험을 하면 새로운 인생관을 갖게 되고 잊지 못할 추억을 간직하게 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경북대는 올해 11개팀 22명이 내달 초부터 몽골과 인도 등 4개국에서 자원 봉사 활동을 펴게 된다.

학교에서 필요경비의 50%를 지원하며 학생들은 국가별로 60만~90만원 정도의 자부담을 해야 하지만 경쟁률은 3대 1을 훌쩍 넘어설 정도로 치열하다.

영남대는 유네스코, 국제워크캠프기구(IWO)와 공동으로 해외자원봉사프로그램을 실시한다.

평균 4대 1이 넘는 경쟁률을 뚫고 해외자원봉사단에 선발된 학생 130명은 지난달 30일 발대식을 가졌으며 터키와 아르메니아, 슬로바키아, 에스토니아, 우크라이나 등 유럽과 아시아 14개국으로 파견돼 약 한 달간 봉사활동을 펼치게 된다.

영남대 엄희창 홍보팀장은 "국제 기구를 통한 자원봉사는 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한 국가를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전국에서 국제 기구를 통한 해외 봉사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곳은 3개 대학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계명대도 108명의 학생들이 2팀으로 나눠 2주간 우즈베키스탄과 몽골에서 봉사활동을 펴게 되며 지원율도 지난해 4대 1에서 올해는 5대 1로 높아졌다.

또 대구가톨릭대와 대구대도 7월 초부터 30여 명의 학생들이 각각 몽골과 캄보디아에서 자원봉사 활동에 들어가며 경일대도 22명의 학생이 지난달 24일부터 베트남에서 자원봉사 활동을 펴고 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봉사단에 참가한 전형찬(27·전기공학)씨는 "봉사가 은근히 중독성이 있어서 자꾸 하게 된다"며 "지난해 몽골에 이어 올해는 베트남으로 장소가 바뀐 만큼 개인적으로도 많은 경험을 쌓을 수 있고 외국친구도 사귀는 좋은 기회가 될 것 같아 참가하게 됐다"고 말했다.

이재협기자 ljh2000@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