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를 성공적으로 조성시키겠다는 정부의 지원 의지가 보이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지난해 8월 10일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가 지정된 이후 1년 가까이가 되도록 표류하고 있다.
최근 세종시 수정안 및 4대강 살리기 문제, 지난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후유증 등 다른 현안에 온통 정부의 관심이 쏠리면서 지난해 최대 국책사업이었던 의료단지 조성사업이 추진 동력을 잃고 있다. 김종대 (재)통합의료진흥원 이사장은 "최근 정부나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의 태도를 보면 의료단지에 대한 추진동력이 떨어져 이 상업이 아예 '사생아'(私生兒) 취급을 하는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당초 계획상 올 초 설립하려던 대구경북의료단지 운영주체인 재단법인도 언제 태어날지 의문이다. 관련 부처와의 조율이 난항을 겪으면서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것. 대구시 이상길 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단장은 "그동안 재단을 맡을 사람으로 누구를 선임하느냐를 두고 난항을 겪고 있지만 올 하반기쯤에는 재단 설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조율중"이라고 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정부가 대구경북과 충북 오송에 의료단지를 복수 지정하는 '악수'(惡手)를 두는 바람에 양 지역 의료단지에 대한 밑그림이 조율되지 않아 재단 설립이 미뤄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비 지원 문제도 대구경북의료단지 성공 조성을 가로막는 걸림돌이다. 의료단지 기반시설비 국고 지원에 대해 관련 부처들이 소극적 태도로 일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대구시는 23일 이해봉(달서을)·조원진(달서병) 등 관련 국회상임위 지역출신 의원들에게 "의료단지의 기업 유치에 걸림돌이 되고 있는 비싼 분양가를 낮추기 위해서는 진입도로 등 기반시설 조성사업에 대한 국비 896억원을 지원받는 게 시급하다"며 적극 나서줄 것을 요청했다. 이날 대구시 자료에 따르면 한국토지주택공사(LH공사)가 맡고 있는 기반시설 조성비를 국비로 대체할 경우, 236만원(3.3㎡당)인 현재 분양가를 176만원으로 60만원 가량 낮출 수 있다.
하지만 대구경북의 절박함과는 달리 정부의 태도는 소극적이다. 전재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최근 국회 상임위에 출석해 "부처에서 지원할 수 있는 것은 합성신약 임상시험센터, IT기반 첨단의료기기 개발지원센터, R&D 등이다. 기반시설 조성비 문제는 국토해양부와 함께 (기획재정부에) 요청하겠지만 확답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김종대 이사장은 "정부가 정신을 딴 데 팔고 있는 상황에서 국책사업이라고 대구경북이 중앙만 쳐다만 봐서는 안 된다. 이런 방향으로, 이런 그림을 그리겠다며 지속적으로 중앙정부에 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봉대기자jinyoo@msnet.co.kr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