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서체로 옮겨 쓴 고대 성현들의 말씀과 詩
행서작품집 '춘추연묵'은 고대 성현들이 남긴 철언(哲言), 명구, 불성게구(佛聖偈句)를 비롯해 중세와 근세 우리나라와 중국의 현철(賢哲)들과 충신, 거사들이 남긴 좋은 말씀과 시를 모아 엄격한 한문쓰기 규칙과 법도에 따라 붓글씨로 쓴 책이다.
지은이는 "고전 속에는 성현들이 갈파한 좋은 말씀과 뜻이 있음에도 현대인들은 이런 좋은 글을 접할 기회가 극히 적다. 이런 글을 반복해 읽으면서 종교와 철학, 역사, 문학을 터득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현대인의 메마른 정서에도 자양분이 될 수 있다"며 이 책을 펴낸 이유를 밝히고 있다.
오랫동안 붓글씨를 써온 지은이는 성현들의 글을 행서체로 반듯하게 쓴 후, 그 옆에 토를 달고, 뜻을 밝혀 사람들이 쉽게 읽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예컨대 '扁華不能肉白骨, 微箕未能扶傾國'라는 글을 붓글씨로 쓴 다음, 그 옆에 '편화도 불능육백골 하고 미기도 미능부경국이러라'고 토를 달았다. 그리고 아래에는 '편작과 화타 같은 천하의 명의라고 할지라도 흰 뼈로 살을 만들지는 못하고, 미자와 기자 같은 충신이라 할지라도 기울어진 나라를 붙들지 못하였음이라'고 해설을 덧붙이고 있다. 또 편작은 전국시대의 명의로, 화타는 후한의 명의로, 미자와 기자는 은말 주왕의 숙부임을 밝혀둠으로써 이 문장의 의미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한편의 붓글씨를 통해 좋은 말씀과 좋은 글씨뿐만 아니라 역사적 지식과 당대의 인물, 시대상황 등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책은 특히 글씨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유필의 본령인 행서체(한자의 여섯 서체 중 하나로, 해서와 초서의 중간쯤 되는 서체)의 쓰기 규칙을 엄격하게 따르고 있는데 책을 읽고 따라 쓰는 것으로 훌륭한 서예인으로 거듭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은이는 "요즘 서예를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괴필, 광필 등 제 마음대로 쓰는 글들이 찬미 받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제대로 된 글씨, 좋은 글을 배우고 익혀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지은이 정영태씨는 어린 시절부터 붓글씨를 써왔으며 1980년대 서예작품으로 서단에 등단했고 몇 년 동안 춘추서예학원을 운영하기도 했다. 그러나 대부분 세월은 재야에서 붓글씨를 써왔다. 이 책을 일독하는 것만으로도 마음의 평안을 얻고 생활의 지혜를 얻는 데 커다란 도움이 될 듯 하다.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